소비기한 표시제 시행…먹어도 되는 기한 표시
우유, 2031년까지 유통기한 표시…1년 계도 기간
제품 전면에는 날짜만 표시된 제품 많아
우유, 2031년까지 유통기한 표시…1년 계도 기간
제품 전면에는 날짜만 표시된 제품 많아
AD
[앵커]
오늘부터는 식품에 표시되는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뀝니다.
1년 동안은 두 가지 표기가 모두 허용되니까 소비자들이 잘 확인하고 섭취해야 합니다.
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식품을 고를 때 유통기한을 꼼꼼히 확인하고 가능한 기한이 많이 남은 제품을 사는 소비자들.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이 바로 상하는 건 아니지만, 먹어도 되는지 꺼려지기 때문입니다.
[황정옥 / 서울 북가좌동 : 하루 이틀 정도는 먹는 데 여러 날 지난 건 조금 그렇죠. 그래서 좀 (유통기한이) 긴 걸 원하는 거죠, 주부들은….]
이런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1월 1일부터 '소비기한 표시제'가 시행됩니다.
안전하게 섭취 가능한 기한을 명확하게 알려주고,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버려지는 걸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자체 실험을 통해 제공한 소비기한 참고값을 보면 두부는 평균 17일에서 23일로, 햄은 38일에서 57일로 늘어나 각각 6일과 19일 더 먹을 수 있게 됩니다.
단, 우유는 오픈형 냉장고에서 냉장이 철저히 지켜지지 않으면 변질되기 쉬워 2031년까지 적용이 제외됩니다.
식약처는 업체의 준비와 재고 소진 기간 등을 고려해 1년간의 계도 기간을 두고 두 표시를 모두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식약처 관계자 : 소비기한으로 변경하려면 아마 근거 데이터가 있어 가지고 실험하는 거라든지 이런 게 필요하니까…. 일단은 다 소비가 돼야 해요. 그걸 버릴 수는 없잖아요.]
문제는 많은 제품들이 앞면에는 날짜만 표시하고 뒷면이나 하단에 작은 글씨로 '유통기한, 별도 표시일까지' 등으로 적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같은 회사에서 나온 면 제품이라도 이 제품은 유통기한이, 이 제품은 소비기한이 표시돼 있습니다. 이 날짜가 뭔지를 알려면 일일이 뒷면을 확인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소비자들 역시 소비기한 표시제 시행에는 환영하지만, 일단은 혼란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임지원 / 서울 응암동 : (이거 보면 뭐 같으세요?) 유통기한요. (그런데 보면…) 아, 소비기한…아무래도 일일이 확인해야 하니까 좀 불편한 거 같아요.]
식품 폐기와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소비기한 표시제가 안전하게 정착되려면 소비자들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YTN 신윤정입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부터는 식품에 표시되는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뀝니다.
1년 동안은 두 가지 표기가 모두 허용되니까 소비자들이 잘 확인하고 섭취해야 합니다.
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식품을 고를 때 유통기한을 꼼꼼히 확인하고 가능한 기한이 많이 남은 제품을 사는 소비자들.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이 바로 상하는 건 아니지만, 먹어도 되는지 꺼려지기 때문입니다.
[황정옥 / 서울 북가좌동 : 하루 이틀 정도는 먹는 데 여러 날 지난 건 조금 그렇죠. 그래서 좀 (유통기한이) 긴 걸 원하는 거죠, 주부들은….]
이런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1월 1일부터 '소비기한 표시제'가 시행됩니다.
안전하게 섭취 가능한 기한을 명확하게 알려주고,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버려지는 걸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자체 실험을 통해 제공한 소비기한 참고값을 보면 두부는 평균 17일에서 23일로, 햄은 38일에서 57일로 늘어나 각각 6일과 19일 더 먹을 수 있게 됩니다.
단, 우유는 오픈형 냉장고에서 냉장이 철저히 지켜지지 않으면 변질되기 쉬워 2031년까지 적용이 제외됩니다.
식약처는 업체의 준비와 재고 소진 기간 등을 고려해 1년간의 계도 기간을 두고 두 표시를 모두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식약처 관계자 : 소비기한으로 변경하려면 아마 근거 데이터가 있어 가지고 실험하는 거라든지 이런 게 필요하니까…. 일단은 다 소비가 돼야 해요. 그걸 버릴 수는 없잖아요.]
문제는 많은 제품들이 앞면에는 날짜만 표시하고 뒷면이나 하단에 작은 글씨로 '유통기한, 별도 표시일까지' 등으로 적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같은 회사에서 나온 면 제품이라도 이 제품은 유통기한이, 이 제품은 소비기한이 표시돼 있습니다. 이 날짜가 뭔지를 알려면 일일이 뒷면을 확인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소비자들 역시 소비기한 표시제 시행에는 환영하지만, 일단은 혼란스럽다는 반응입니다.
[임지원 / 서울 응암동 : (이거 보면 뭐 같으세요?) 유통기한요. (그런데 보면…) 아, 소비기한…아무래도 일일이 확인해야 하니까 좀 불편한 거 같아요.]
식품 폐기와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소비기한 표시제가 안전하게 정착되려면 소비자들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YTN 신윤정입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