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정지웅 앵커, 이승휘 앵커
■ 출연 :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 시각 현재 이태원에서 사고를 당한 환자를 돌보고 있는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가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노영선 서울대학교 응급의학과 교수 전화연결해 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지금 서울대병원 응급실에는 이태원 참사 사고 환자가 어느 정도 와 있습니까?
[노영선]
서울대병원에는 CPR 중이었던 환자 2명과 경증환자들이 내원해 있습니다.
[앵커]
여러 증상의 환자들이 있는 것 같은데 상태가 대부분 어떤가요?
[노영선]
현재 있는 환자들 말씀이실까요?
[앵커]
네.
[노영선]
CPR 했던 환자들은 모두 안타깝게 사망하셨고 경증환자들은 대부분 처치 후에 귀가 가능한 정도입니다.
[앵커]
지금 주로 압사사고로 파악이 되고 있는데요. 사고 직후에 호흡곤란 신고가 특히 많았습니다. 압사 사고로 이렇게 좋지 않은 상황까지 이어지는 게 어떻게 가능한가, 설명을 해 주시겠습니까?
[노영선]
일반적으로 압사사고라는 것이 커다란 어떤 무언가에 깔려서 그 그 압력에 의해서 사망하는 사고도 있는데 압사사고는 사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축구장이나 혹은 이번 사태처럼 이렇게 인파가 많이 몰리는 지역에서 한 사람이 쓰러진 위에 사람들이 위로 넘어지면서 그 무게에 의한 압력 때문에 호흡곤란이 와서 질식사를 할 수 있습니다.
[앵커]
일단 지금 서울대병원 응급실에 이송된 이태원 참사 사고 관련 환자 중에 심폐소생술을 한 환자는 대부분 숨진 걸로 나타났고 경증 환자는 처치 후에 귀가를 했다,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 이번 사고에서 시민분들까지 적극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사고 직후에 심폐소생술이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노영선]
심폐소생술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렇게 압사사고처럼 혹은 압사사고가 아니어도 심정지가 발생한 이후로 심정지의 시점으로부터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제공된다면 훨씬 더 환자가 생존할 확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압사사고 같은 경우에는 오늘의 그 사태에서는 사람이 넘어지고 그 위로 도미노처럼 계속 넘어졌기 때문에 피해자들을 구조하는 데 굉장히 시간이 많이 걸렸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환자가 구조되면 평평한 바닥에 눕혀놓고 환자가 만약에 심정지로 확인된다면 즉각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지금 많은 분들이 한꺼번에 이렇게 엉키면서 사실 빠른 시간 안에 응급처치가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요. 압사사고 같은 경우에 골든타임은 어느 정도 됩니까?
[노영선]
심정지의 경우에 골든타임은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압사사고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심정지의 경우에는 그렇게 빠른 심폐소생술이 제공이 되어야 환자가 생존할 확률도 높아지고 깼을 때 뇌신경학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진행해야 생존확률이 높아진다라고 얘기를 해 주셨는데 실제로 이 CPR, 심폐소생술 경험이 없어도 일단 시도를 해 보는 게 중요할까요?
[노영선]
매우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을 배웠던 경험이 없다고 해도 요즘은 방송매체나 혹은 여러 가지 인터넷이나 이런 매체들을 통해서 CPR을 어떻게 하는 것이라는 건 많이들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심폐소생술이 가슴의 중앙을 3~5cm 깊이로 분당 100회 정도로 누른다는 것을 알고 계신다면 영상에서 봤던 CPR의 모습들, 혹은 CPR 할 때 가슴 흉부 압박을 해야 하는 위치를 생각해서 즉각적으로 해 주신다면 환자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저희가 제보영상을 전해 드리고 있는데요. 지금 정말 많은 분들이 CPR을 진행하고 있는 그런 다소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사고 현장에 많은 인파가 몰렸기 때문에 교통이 마비되면서 구급차의 이동이 상당히 어려웠을 것으로 저희가 지금 파악이 되는데 현장에서는 CPR을 적극적으로 했음에도 이런 이송지연 같은 부분이 피해를 키웠을 것으로 분석을 하십니까?
[노영선]
네, 이런 압사사고는 굉장히 환자가 중환자와 심정지 정도의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중환자, 비교적 가벼운 외상 정도를 보이는 경증 환자로 굉장히 극명하게 나뉘게 되는데 중증환자의 경우에는 빠른 심폐소생술이 중요하기도 하지만 사실 이 환자들은 병원에 가서 기도삽관이라든지 약물 주입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빠르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병원으로 옮겨서 전문 치료가 제공돼야 되는데 아무래도 병원까지 이송이 지연된다고 하면 전문 치료가 늦어져서 환자의 생존확률이 그만큼 떨어진다고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밤사이 지금 149명이 숨지는 그야말로 참사 소식에 많은 분들 충격을 받으셨을 것 같은데 어떻게 이런 사고가 짧은 시간 안에 발생을 했을까 많은 분들 의아해 하실 것 같습니다. 이 부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노영선]
이번 사태로 저도 다시 한 번 배웠다면 재난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는 걸 다시 한 번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대부분 어느 누구도 사실 예측할 수 없었던 상황이고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는 재난에 대한 대비와 대응을 얼마나 할 수 있는지 그 사전의 능력에 따라서 재난의 규모에 따른 환자의 발생 규모나 혹은 사상자의 규모를 결정하는 것 같습니다. 비교적 서울시는 재난 발생에 대해서 여러 번 시뮬레이션도 하고 합동훈련을 매년 하고 있었는데 그것들이 도움이 되기도 했지만 부족한 부분도 없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항상 더 큰 재난이 발생할 것을 대비해서 미리 준비하고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앵커]
지금 노영선 교수님이 아무래도 응급의학과 교수님이시니까요. 과거에 혹시 이런 압사 관련된 이런 대규모의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으십니까?
[노영선]
아니요, 저도 없습니다. 저는 보통 축구장이나 콘서트장에서는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반드시 이런 압사사고에 대비하고 대응하는 사전계획을 갖고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이런 계획들을 준비하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처음 경험한 일이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전화로 연결해서 자세히 여쭤봤습니다. 전화 연결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 시각 현재 이태원에서 사고를 당한 환자를 돌보고 있는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가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노영선 서울대학교 응급의학과 교수 전화연결해 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지금 서울대병원 응급실에는 이태원 참사 사고 환자가 어느 정도 와 있습니까?
[노영선]
서울대병원에는 CPR 중이었던 환자 2명과 경증환자들이 내원해 있습니다.
[앵커]
여러 증상의 환자들이 있는 것 같은데 상태가 대부분 어떤가요?
[노영선]
현재 있는 환자들 말씀이실까요?
[앵커]
네.
[노영선]
CPR 했던 환자들은 모두 안타깝게 사망하셨고 경증환자들은 대부분 처치 후에 귀가 가능한 정도입니다.
[앵커]
지금 주로 압사사고로 파악이 되고 있는데요. 사고 직후에 호흡곤란 신고가 특히 많았습니다. 압사 사고로 이렇게 좋지 않은 상황까지 이어지는 게 어떻게 가능한가, 설명을 해 주시겠습니까?
[노영선]
일반적으로 압사사고라는 것이 커다란 어떤 무언가에 깔려서 그 그 압력에 의해서 사망하는 사고도 있는데 압사사고는 사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축구장이나 혹은 이번 사태처럼 이렇게 인파가 많이 몰리는 지역에서 한 사람이 쓰러진 위에 사람들이 위로 넘어지면서 그 무게에 의한 압력 때문에 호흡곤란이 와서 질식사를 할 수 있습니다.
[앵커]
일단 지금 서울대병원 응급실에 이송된 이태원 참사 사고 관련 환자 중에 심폐소생술을 한 환자는 대부분 숨진 걸로 나타났고 경증 환자는 처치 후에 귀가를 했다,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 이번 사고에서 시민분들까지 적극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사고 직후에 심폐소생술이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노영선]
심폐소생술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렇게 압사사고처럼 혹은 압사사고가 아니어도 심정지가 발생한 이후로 심정지의 시점으로부터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제공된다면 훨씬 더 환자가 생존할 확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압사사고 같은 경우에는 오늘의 그 사태에서는 사람이 넘어지고 그 위로 도미노처럼 계속 넘어졌기 때문에 피해자들을 구조하는 데 굉장히 시간이 많이 걸렸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환자가 구조되면 평평한 바닥에 눕혀놓고 환자가 만약에 심정지로 확인된다면 즉각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지금 많은 분들이 한꺼번에 이렇게 엉키면서 사실 빠른 시간 안에 응급처치가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요. 압사사고 같은 경우에 골든타임은 어느 정도 됩니까?
[노영선]
심정지의 경우에 골든타임은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압사사고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심정지의 경우에는 그렇게 빠른 심폐소생술이 제공이 되어야 환자가 생존할 확률도 높아지고 깼을 때 뇌신경학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하겠습니다.
[앵커]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진행해야 생존확률이 높아진다라고 얘기를 해 주셨는데 실제로 이 CPR, 심폐소생술 경험이 없어도 일단 시도를 해 보는 게 중요할까요?
[노영선]
매우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을 배웠던 경험이 없다고 해도 요즘은 방송매체나 혹은 여러 가지 인터넷이나 이런 매체들을 통해서 CPR을 어떻게 하는 것이라는 건 많이들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심폐소생술이 가슴의 중앙을 3~5cm 깊이로 분당 100회 정도로 누른다는 것을 알고 계신다면 영상에서 봤던 CPR의 모습들, 혹은 CPR 할 때 가슴 흉부 압박을 해야 하는 위치를 생각해서 즉각적으로 해 주신다면 환자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저희가 제보영상을 전해 드리고 있는데요. 지금 정말 많은 분들이 CPR을 진행하고 있는 그런 다소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사고 현장에 많은 인파가 몰렸기 때문에 교통이 마비되면서 구급차의 이동이 상당히 어려웠을 것으로 저희가 지금 파악이 되는데 현장에서는 CPR을 적극적으로 했음에도 이런 이송지연 같은 부분이 피해를 키웠을 것으로 분석을 하십니까?
[노영선]
네, 이런 압사사고는 굉장히 환자가 중환자와 심정지 정도의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중환자, 비교적 가벼운 외상 정도를 보이는 경증 환자로 굉장히 극명하게 나뉘게 되는데 중증환자의 경우에는 빠른 심폐소생술이 중요하기도 하지만 사실 이 환자들은 병원에 가서 기도삽관이라든지 약물 주입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빠르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병원으로 옮겨서 전문 치료가 제공돼야 되는데 아무래도 병원까지 이송이 지연된다고 하면 전문 치료가 늦어져서 환자의 생존확률이 그만큼 떨어진다고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밤사이 지금 149명이 숨지는 그야말로 참사 소식에 많은 분들 충격을 받으셨을 것 같은데 어떻게 이런 사고가 짧은 시간 안에 발생을 했을까 많은 분들 의아해 하실 것 같습니다. 이 부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노영선]
이번 사태로 저도 다시 한 번 배웠다면 재난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는 걸 다시 한 번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대부분 어느 누구도 사실 예측할 수 없었던 상황이고 재난이 발생했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는 재난에 대한 대비와 대응을 얼마나 할 수 있는지 그 사전의 능력에 따라서 재난의 규모에 따른 환자의 발생 규모나 혹은 사상자의 규모를 결정하는 것 같습니다. 비교적 서울시는 재난 발생에 대해서 여러 번 시뮬레이션도 하고 합동훈련을 매년 하고 있었는데 그것들이 도움이 되기도 했지만 부족한 부분도 없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항상 더 큰 재난이 발생할 것을 대비해서 미리 준비하고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앵커]
지금 노영선 교수님이 아무래도 응급의학과 교수님이시니까요. 과거에 혹시 이런 압사 관련된 이런 대규모의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으십니까?
[노영선]
아니요, 저도 없습니다. 저는 보통 축구장이나 콘서트장에서는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반드시 이런 압사사고에 대비하고 대응하는 사전계획을 갖고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이런 계획들을 준비하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처음 경험한 일이었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전화로 연결해서 자세히 여쭤봤습니다. 전화 연결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