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내부고발자 폭로에서 시작된 '나눔의 집' 후원금 논란

[뉴있저] 내부고발자 폭로에서 시작된 '나눔의 집' 후원금 논란

2020.05.21. 오후 7:5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후원금 26억 중 할머니 위해 쓰인 돈 거의 없어"
"대표이사 월주 스님 건보료 후원금으로 지출"
"2016년 월주 스님 책 구입 명목 후원금 사용"
AD
[앵커]
내부고발자들의 폭로로 시작된 '나눔의집' 후원금 의혹 문제를 계속해서 취재 기자와 알아봅니다.

이연아 기자, 먼저 부실회계 의혹이 제기된 윤미향 전 이사장의 '정의기억연대'와 '나눔의 집' 차이를 정리해볼까요?

[기자]
정의연과 나눔의집은 30년 가까이 국내 위안부 문제를 이끈 양대 단체이지만, 뿌리도 노선도 다릅니다.

정의연은 1990년 37개 여성단체 연합으로 발족한 '정대협'과 2015년 설립한 '정의기억재단'과 통합해 출범한 시민단체입니다.

나눔의집은 현재 불교계인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단체는 활동 방향도 차이가 있습니다.

정대협은 일본 정부의 위안부 피해 인정과 공식 사죄를 위한 국내외 연대 활동에 좀 더 집중했고, 수요집회와 평화비 건립 등이 대표적입니다.

반면 나눔의집은 위안부 피해자 돌봄 자체에 좀 더 집중하고 있는데, 현재도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여섯분이 생활하고 있습니다.

[앵커]
나눔의집 내부고발자들의 폭로로 제기된 의혹이 적지 않던데 정리를 좀 해주시죠.

[기자]
우선 지난해에만 후원금 26억이 들어왔지만, 실제 할머니들을 위해 쓰인 돈은 시설비 6천여만 원 중 천만 원도 안 됐다고 의혹입니다.

여기에 나눔의집 법인 대표이사인 월주 스님이 약 5년간 건강보험료 700여만 원을 후원금으로 지출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2016년에는 월주 스님의 책 구입 명목으로 후원금 수백만 원이 쓰였다는 부분도 있습니다.

또 관리 감독을 해야 할 지자체에도 문제를 제기했는데요.

내부고발자들은 지난 3월부터 최근까지 광주시청과 경기도 측, 여가부와 총리실 등에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지만, 제대로 된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앵커]
결국 경기도가 특별점검을 벌였는데, 법 위반 사례가 확인됐지요?

[기자]
경기도가 최근 특별점검에서 후원금으로 대표이사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금액이 700만 원에 이릅니다.

후원금을 사용해서는 안 되는 6억 원의 토지취득비, 13건 5억 원의 공사비를 후원금으로 지출한 점, 또 주무관청의 승인도 받지 않은 사례도 확인됐습니다.

또 4년간 출근하지 않은 역사관 직원에게 급여 5천300여만 원을 후원금으로 지급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공식적으로 집계된 기부금 수입이 약 30억 원입니다.

그런데 관련 법인 기부금품법에 따르면 1천만 원 이상 기부금을 모으려면 당국에 알리도록 하는 법이 2006년 제정됐지만 한 차례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학대 의혹에 대해서는 증거 부족으로 학대로 판정하진 못했지만 위험이 내포된 잠재 사례로 판정됐습니다.

이에 대해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헌신은 존중하되 책임은 분명하게 해야 한다"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이미 고인이 되신 위안부 피해 할머니의 유서를 위조한 의혹도 제기됐다는데, 어떤 부분입니까?

[기자]
앞서 운영진이 기부와 관련해 고 김화선 할머니의 유서를 위조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는데요.

전 재산 6천만 원을 나눔의집 추모관 건립에 기부한다는 내용인데, 김 할머니 자필 서명 없이 도장만 찍혀 있었습니다.

취재 과정에서 또 다른 할머니의 유서도 위조됐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고 배춘희 할머니 이름으로 작성된 기부약정서입니다.

배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기 2개월 전인 2014년 4월 10일 작성됐습니다.

약정서에는 자필 서명 없이 도장만 찍혀 있는데, 배 할머니가 전 재산을 '나눔의집에 전액 기부한다'고 적혀 있습니다.

해당 약정서가 작성한 날은 배 할머니가 119를 불러 병원에 입원한 날이었다는 점, 생전에 기부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점 등을 근거로 내부고발자들은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후 나눔의집 법인계좌에는 배 할머니의 전 재산 1억 원이 입금됐습니다.

두 할머니 모두 무의탁 노인이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앵커]
이런 의혹에 대한 현재 나눔의집 측 입장은 무엇입니까?

[기자]
나눔의집 측은 법규를 잘 몰라 빚어진 실수라는 해명을 하고 있습니다.

후원금 관련 의혹은 사실이 아니며 기부금품법 위반은 인지를 못했다는 겁니다.

기부 약정서 부분에 대해서는 일부 언론을 통해 공증 절차를 몰랐고, 관련 자료를 경기도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YTN이 관련해서 나눔의집 측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시설 계좌 없이 법인 계좌만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직원이 2~3명으로 관리가 어려웠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경기도와 경찰이 수사에 나섰고, 후원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정황 등이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높아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연아 [yalee21@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