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AD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가량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 1,000가구를 방문해 면담 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 13.9배로 나타났다. PIR은 월급을 고스란히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수치를 적용하면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 할 경우 약 14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셈이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의 순이었다.
권역별 PIR은 전년 대비 수도권(8.5배→8.7배)과 도(道) 지역(3.7배→4.0배)에서 증가했고, 광역시(6.3배)는 동일했다.
자기 집을 가진 가구 비율인 자가 보유율은 지난해 전국 61.4%로 전년(60.7%)보다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 자가 보유율은 도(68.6%→69.4%), 광역시(62.3%→63.5%), 수도권(55.1%→55.6%) 모두 증가했다.
자신이 소유한 집에서 거주하는 자가점유율은 58.5%로 전년(57.4%) 대비 높아졌다. 자가점유율 역시 도(65.4%→66.5%), 광역시(58.9%→60.0%), 수도권(51.9%→52.7%)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6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표본 6만 1,000가구를 방문해 면담 조사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중간값 기준 13.9배로 나타났다. PIR은 월급을 고스란히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수치를 적용하면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 할 경우 약 14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셈이다.
서울 다음으로 PIR이 높은 지역은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 등의 순이었다.
권역별 PIR은 전년 대비 수도권(8.5배→8.7배)과 도(道) 지역(3.7배→4.0배)에서 증가했고, 광역시(6.3배)는 동일했다.
자기 집을 가진 가구 비율인 자가 보유율은 지난해 전국 61.4%로 전년(60.7%)보다 소폭 상승했다. 지역별 자가 보유율은 도(68.6%→69.4%), 광역시(62.3%→63.5%), 수도권(55.1%→55.6%) 모두 증가했다.
자신이 소유한 집에서 거주하는 자가점유율은 58.5%로 전년(57.4%) 대비 높아졌다. 자가점유율 역시 도(65.4%→66.5%), 광역시(58.9%→60.0%), 수도권(51.9%→52.7%)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