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 13일 정부가 부동산 보유세에 영향을 미치는 내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동결하기로 했죠.
하지만 이렇게 해도 올해 시세가 많이 오른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 등 인기지역을 중심으로 내년 보유세 부담은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년 아파트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에도 불구하고 세 부담은 오히려 커졌습니다.
재산세 등의 과세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은 시세에 현실화율을 곱해서 산정하는데
시세 변동에 따라 공시가격이 뛰게 된 이 아파트의 1주택자 보유세가 내년엔 올해보다 39%가량 높아질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내년도 현실화율을 69% 수준으로 동결하기로 했지만 이렇게 시세가 상승한 아파트의 공시가격이 올라가면서 세 부담도 그만큼 커지게 됩니다.
[박천규 / 국토연구원 주택·부동산연구본부장(지난 13일) : 2026년 시세반영률을 1년간 유지하는 안을 제시했습니다. 단, 시장의 변동은 충실히 반영합니다. 오해하는 부분이 있는데 시세반영률이 동결되더라도 시장변동은 산정 시 반영되므로 시세가 상승했다면 공시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올해 시세가 크게 오른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보유세 부담은 급증할 전망입니다.
예를 들어 성동구의 한 아파트 보유세는 올해 325만 원에서 내년 453만 원으로 오르고 강남구의 한 아파트는 올해 703만 원 수준이던 보유세가 내년엔 천만 원을 넘어서게 됩니다.
[우병탁 / 신한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 : (강남, 한강벨트 지역은) 지역에 따라 단지별로 법정 한도인 150%, 실제 납부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전년 대비 30~40% 정도까지 더 늘어나는 곳이 다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요.]
반면 집값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서울 외곽지역의 보유세는 평균 10~15%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여 지역별로 세 부담에 대한 온도 차도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정부의 최종 공시가격은 내년 4월쯤 확정됩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기자 : 이승준
영상편집 : 김광현
디자인 : 윤다솔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13일 정부가 부동산 보유세에 영향을 미치는 내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동결하기로 했죠.
하지만 이렇게 해도 올해 시세가 많이 오른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 등 인기지역을 중심으로 내년 보유세 부담은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년 아파트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에도 불구하고 세 부담은 오히려 커졌습니다.
재산세 등의 과세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은 시세에 현실화율을 곱해서 산정하는데
시세 변동에 따라 공시가격이 뛰게 된 이 아파트의 1주택자 보유세가 내년엔 올해보다 39%가량 높아질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내년도 현실화율을 69% 수준으로 동결하기로 했지만 이렇게 시세가 상승한 아파트의 공시가격이 올라가면서 세 부담도 그만큼 커지게 됩니다.
[박천규 / 국토연구원 주택·부동산연구본부장(지난 13일) : 2026년 시세반영률을 1년간 유지하는 안을 제시했습니다. 단, 시장의 변동은 충실히 반영합니다. 오해하는 부분이 있는데 시세반영률이 동결되더라도 시장변동은 산정 시 반영되므로 시세가 상승했다면 공시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올해 시세가 크게 오른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보유세 부담은 급증할 전망입니다.
예를 들어 성동구의 한 아파트 보유세는 올해 325만 원에서 내년 453만 원으로 오르고 강남구의 한 아파트는 올해 703만 원 수준이던 보유세가 내년엔 천만 원을 넘어서게 됩니다.
[우병탁 / 신한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 : (강남, 한강벨트 지역은) 지역에 따라 단지별로 법정 한도인 150%, 실제 납부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전년 대비 30~40% 정도까지 더 늘어나는 곳이 다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요.]
반면 집값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서울 외곽지역의 보유세는 평균 10~15%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여 지역별로 세 부담에 대한 온도 차도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정부의 최종 공시가격은 내년 4월쯤 확정됩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기자 : 이승준
영상편집 : 김광현
디자인 : 윤다솔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