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민 10명 가운데 9명은 국토 면적의 16.5%에 해당하는 도시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4년 기준 도시계획 현황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용도지역, 성장관리계획구역 등을 매년 집계해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로 도시정책 수립 등에 활용됩니다.
우선 지난해 도시지역 면적은 국토 면적의 16.5%로 주민등록인구의 92.1%인 4,715만 명이 도시지역에 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2023년과 같은 수준으로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2000년까지 급속히 증가했지만 지난 2005년 이후 90% 수준을 유지하며 성숙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전 국토의 토지이용을 나타내는 용도지역은 간척사업 등으로 2019년과 비교해 356㎢ 증가했습니다.
2019년과 비교하면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은 83㎢, 상업지역은 10㎢, 그리고 공업지역은 58㎢ 증가했고 녹지지역은 76㎢ 감소했습니다.
아울러 난개발 방지를 위한 성장관리계획구역은 5년 만에 13.7배 확대돼 지난해 기준 4,259㎢로 집계됐습니다.
개발행위허가는 18만 6천여 건으로 최근 3년간 감소세가 이어졌고 도로와 공원, 종합의료시설처럼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도시·군 계획시설은 36만6천 개 7,196㎢로 집계됐습니다.
10년 이상 토지보상 등이 되지 않은 장기 미집행 도시·군 계획시설은 지난해 기준 340㎢로 2014년과 비교해 63.9% 감소했습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4년 기준 도시계획 현황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용도지역, 성장관리계획구역 등을 매년 집계해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로 도시정책 수립 등에 활용됩니다.
우선 지난해 도시지역 면적은 국토 면적의 16.5%로 주민등록인구의 92.1%인 4,715만 명이 도시지역에 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2023년과 같은 수준으로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2000년까지 급속히 증가했지만 지난 2005년 이후 90% 수준을 유지하며 성숙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전 국토의 토지이용을 나타내는 용도지역은 간척사업 등으로 2019년과 비교해 356㎢ 증가했습니다.
2019년과 비교하면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은 83㎢, 상업지역은 10㎢, 그리고 공업지역은 58㎢ 증가했고 녹지지역은 76㎢ 감소했습니다.
아울러 난개발 방지를 위한 성장관리계획구역은 5년 만에 13.7배 확대돼 지난해 기준 4,259㎢로 집계됐습니다.
개발행위허가는 18만 6천여 건으로 최근 3년간 감소세가 이어졌고 도로와 공원, 종합의료시설처럼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도시·군 계획시설은 36만6천 개 7,196㎢로 집계됐습니다.
10년 이상 토지보상 등이 되지 않은 장기 미집행 도시·군 계획시설은 지난해 기준 340㎢로 2014년과 비교해 63.9% 감소했습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