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인터넷 속 화제 뉴스 만나보시죠.
뉴스큐 클릭입니다.
간단하게 한 끼 해결할 수 있는 메뉴로 햄버거 드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최근 햄버거 가격, 어떻게 느껴지십니까.
조금 비싸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 가격이 또 오릅니다.
올해 가격 인상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업체는 맥도날드입니다.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1.33% 인상해 빅맥은 4,300원에서 100원 올렸고, 배달 서비스인 '맥 딜리버리'도 최소 배달 주문 가능 금액이7,000원에서 8,000원으로 인상됐습니다.
맥도날드는 가격 인상은 각종 제반 비용 상승 등 대외 변수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그런데 이런 흐름, 낯설지 않습니다.
지난해 햄버거 값 인상을 주도한 곳은 버거킹이었습니다.
버거킹의 당시 평균 가격 인상률은 2%대였지만, 인기 메뉴는 최고 8%까지 가격이 올랐습니다.
이렇게 약속이나 한 듯, 연초만 되면 햄버거 업계가 가격을 줄줄이 올리고 있는데요.
업계 관계자는 "누가 먼저 시작하느냐의 문제일 뿐, 해마다 가격 인상은 되풀이되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이런 현상에 대해 누리꾼들은, "저 가격이라면 차라리 밥을 먹는 게 낫겠다", "고객에게 주는 최상의 서비스는 가격 할인"이라면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고요.
"최저 시급 올라서 햄버거 가격도 오르는 것 같다"는 의견과 "햄버거 가격만 올라가나? 다른 물가도 고공행진 중."이라며 비싼 물가를 꼬집은 누리꾼도 있었습니다.
지하철에서 지갑 잃어버리신 적 있으십니까.
최근 3년간 지하철 1~4호선 승객이 잃어버린 현금이 1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현금 분실물은 만 5천 건 넘게 접수됐습니다.
승객이 분실한 지갑이나 가방 속 현금에는 평균 7만7천 원이 있었는데요.
이걸 합쳐보면 12억원에 이릅니다.
이 중 94%인 11억여 원은 주인을 되찾았고, 나머지 6%는 경찰에 넘겨졌습니다.
다른 지하철은 어떨까요.
9호선의 경우 3년간 251건의 현금 분실물이 접수됐고, 금액은 543만 원으로 모두 경찰에 전달됐습니다.
그러나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분실물 중 현금 처리 내용을 제출하지 않았는데요.
자체 유실물 처리 절차에 따라 지갑 등이 분실물로 접수돼도 그 안에 있는 현금 액수는 자료로 입력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5~8호선의 습득 현금에 대한 서울시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우리 국민이 경제적 행복을 이루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노후 준비를 꼽았다는 소식, 전해드린 바 있죠.
그래서 노후 수단으로 연금저축을 선택하는 직장인들이 많은데, 이 연금저축의 역설이 있다고 합니다.
무슨 일인지, 살펴보죠.
연금저축은 10~20년 이상 꾸준히 돈을 넣고, 은퇴 후에 연금으로 받는 상품입니다.
절세 혜택까지 있어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500만 명 넘게 가입해 그동안 적립한 돈이 107조 원에 달합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황으로 중도 해지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생명보험사나 은행의 연금저축 가입자 절반 정도가 10년을 넘기지 못하고 해지했습니다.
문제는 해지할 경우 손해가 크다는 점인데요.
연금저축 가입자가 중도 해지할 때 연말정산 세액공제율보다 3.3%포인트 높은 기타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만기 후에는 자칫하면 '세금 폭탄'으로 전락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년간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해 종합소득세를 매기죠.
세율은 소득구간에 따라 다른데,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을 제외한 사적 연금소득이 1,200만 원을 넘게 되면 종합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 최대 41.8%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누리꾼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댓글 보시죠.
"보험사가 어떤 곳인데 절대 손해 보는 상품은 안 만듭니다"면서 비꼰 누리꾼도 있었고 "장기상품 가입할 때는 신중하게 생각하고 가입하세요" 라고 당부한 누리꾼도 있었습니다.
"이래저래 월급쟁이 돈만 뜯어가려고 혈안이 된 나라"라며 날 선 비난도 이어졌습니다.
금융당국도 연금저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지만 섣불리 나서지 못하고 있는데요.
안정된 노후를 꿈꾸는 국민의 바람이 정책에 반영될 수는 없는 걸까요.
지금까지 뉴스큐 클릭이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스큐 클릭입니다.
간단하게 한 끼 해결할 수 있는 메뉴로 햄버거 드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최근 햄버거 가격, 어떻게 느껴지십니까.
조금 비싸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 가격이 또 오릅니다.
올해 가격 인상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업체는 맥도날드입니다.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1.33% 인상해 빅맥은 4,300원에서 100원 올렸고, 배달 서비스인 '맥 딜리버리'도 최소 배달 주문 가능 금액이7,000원에서 8,000원으로 인상됐습니다.
맥도날드는 가격 인상은 각종 제반 비용 상승 등 대외 변수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그런데 이런 흐름, 낯설지 않습니다.
지난해 햄버거 값 인상을 주도한 곳은 버거킹이었습니다.
버거킹의 당시 평균 가격 인상률은 2%대였지만, 인기 메뉴는 최고 8%까지 가격이 올랐습니다.
이렇게 약속이나 한 듯, 연초만 되면 햄버거 업계가 가격을 줄줄이 올리고 있는데요.
업계 관계자는 "누가 먼저 시작하느냐의 문제일 뿐, 해마다 가격 인상은 되풀이되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이런 현상에 대해 누리꾼들은, "저 가격이라면 차라리 밥을 먹는 게 낫겠다", "고객에게 주는 최상의 서비스는 가격 할인"이라면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고요.
"최저 시급 올라서 햄버거 가격도 오르는 것 같다"는 의견과 "햄버거 가격만 올라가나? 다른 물가도 고공행진 중."이라며 비싼 물가를 꼬집은 누리꾼도 있었습니다.
지하철에서 지갑 잃어버리신 적 있으십니까.
최근 3년간 지하철 1~4호선 승객이 잃어버린 현금이 1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현금 분실물은 만 5천 건 넘게 접수됐습니다.
승객이 분실한 지갑이나 가방 속 현금에는 평균 7만7천 원이 있었는데요.
이걸 합쳐보면 12억원에 이릅니다.
이 중 94%인 11억여 원은 주인을 되찾았고, 나머지 6%는 경찰에 넘겨졌습니다.
다른 지하철은 어떨까요.
9호선의 경우 3년간 251건의 현금 분실물이 접수됐고, 금액은 543만 원으로 모두 경찰에 전달됐습니다.
그러나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분실물 중 현금 처리 내용을 제출하지 않았는데요.
자체 유실물 처리 절차에 따라 지갑 등이 분실물로 접수돼도 그 안에 있는 현금 액수는 자료로 입력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5~8호선의 습득 현금에 대한 서울시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우리 국민이 경제적 행복을 이루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노후 준비를 꼽았다는 소식, 전해드린 바 있죠.
그래서 노후 수단으로 연금저축을 선택하는 직장인들이 많은데, 이 연금저축의 역설이 있다고 합니다.
무슨 일인지, 살펴보죠.
연금저축은 10~20년 이상 꾸준히 돈을 넣고, 은퇴 후에 연금으로 받는 상품입니다.
절세 혜택까지 있어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500만 명 넘게 가입해 그동안 적립한 돈이 107조 원에 달합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황으로 중도 해지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생명보험사나 은행의 연금저축 가입자 절반 정도가 10년을 넘기지 못하고 해지했습니다.
문제는 해지할 경우 손해가 크다는 점인데요.
연금저축 가입자가 중도 해지할 때 연말정산 세액공제율보다 3.3%포인트 높은 기타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만기 후에는 자칫하면 '세금 폭탄'으로 전락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년간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해 종합소득세를 매기죠.
세율은 소득구간에 따라 다른데,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을 제외한 사적 연금소득이 1,200만 원을 넘게 되면 종합소득에 포함되기 때문에 최대 41.8%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누리꾼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댓글 보시죠.
"보험사가 어떤 곳인데 절대 손해 보는 상품은 안 만듭니다"면서 비꼰 누리꾼도 있었고 "장기상품 가입할 때는 신중하게 생각하고 가입하세요" 라고 당부한 누리꾼도 있었습니다.
"이래저래 월급쟁이 돈만 뜯어가려고 혈안이 된 나라"라며 날 선 비난도 이어졌습니다.
금융당국도 연금저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지만 섣불리 나서지 못하고 있는데요.
안정된 노후를 꿈꾸는 국민의 바람이 정책에 반영될 수는 없는 걸까요.
지금까지 뉴스큐 클릭이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