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핵 인정' 요구에 한미일 '북 비핵화' 재확인

김정은 '핵 인정' 요구에 한미일 '북 비핵화' 재확인

2025.09.23. 오후 4:5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요구만 아니라면 북미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의사를 밝힌 지 하루 만에 한미일 3국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목표라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이 북미대화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핵 보유국 인정 요구에 대한 미국의 대답은 하루 만에 나왔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참석한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목표라는 점을 공동성명에 명시한 겁니다.

[이재웅 / 외교부 대변인 : 공동성명은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맞아서 3국 정부가 협의하여, 합의하여 발표한 내용입니다.]

앞서 김 위원장은 비핵화 요구만 하지 않는다면 북미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직접 밝히면서, 미국의 반응이 주목됐습니다.

[조선중앙TV : (김정은 위원장은) 조선반도(한반도)와 주변의 정세 추이를 엄중히 분석하면서, 공화국 정부의 원칙적인 대미 대한 입장을 천명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미국이 김 위원장의 요구를 거절한 것으로 보이지만, 북미대화 의지를 접었다고 보는 견해는 많지 않습니다.

오히려 김 위원장의 대화 의지를 확인한 이상, 물밑 접촉을 통해 대화 명분을 찾는 작업이 빨라질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임을출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앞으로는 물밑 접촉을 통해서 그러니까, 북한이 원하는 핵보유국 지위의 문제와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 목표 간에 물밑 조율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봐야 되겠죠.]

한미일 3국은 또,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 증가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북러 밀착을 경계했습니다.

이와 함께 남중국해의 불법적 해양 주장과 이를 강화하려는 시도를 강력히 반대한다며 대 중국 견제 내용도 공동성명에 포함했습니다.

한미일 3국이 이처럼 동북아 역내에서 공조를 강화하는 모습은 이달 초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이면서 결속을 강화한 데 대한 맞대응 성격이 담긴 것으로 해석됩니다.

YTN 홍선기 입니다.


촬영기자 고민철
영상편집 양영운
디자인 전휘린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