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오늘 역시 무덥다 못해 뜨겁습니다.
전국 곳곳에 35도가 넘는 곳이 나오고 있고 전국적으로 폭염 특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계속되는 무더위 속에 최근 열사병으로 숨진 사람이 계속 나오고 있고 가축 폐사율도 높아 120만 마리가 넘는 가축들이 폐사했습니다.
전북 김제 양계 농가에 취재 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백종규 기자!
일주일 넘게 이어진 폭염 때문에 가축 폐사율이 높고 산란율도 떨어져 농민들이 힘들어한다고요?
[기자]
계속되는 찜통더위 속에 고생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더위 때문에 사람만 힘든 것이 아닙니다.
지금 저는 양계장에 나와 있는데요.
닭의 경우 낮 기온이 30도가 넘으면 닭은 산란율이 떨어지고 폐사율도 급격하게 높아집니다.
이곳은 환기 시설과 냉방 시설까지 갖췄지만, 가마솥더위가 이어지면서 닭들 역시 힘들어 보입니다.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다 보니 폐사하는 개체 수도 계속 늘고 있습니다.
농민들이 자식처럼 돌보고 있지만, 주인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폐사하는 가축들이 늘고 있어 안타깝기만 합니다.
AI 때문에 마음고생 했던 농가들은 폭염 때문에 또 피해를 보고 있는 모습을 보니까 마음이 안 좋은데요.
최근 NH 농협손해보험이 가축재해보험 폭염 특약으로 접수한 피해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 6월 28일부터 지난 2일 사이에 폐사한 닭·오리·돼지는 123만4천여 마리로 집계됐습니다.
가축 종류별로는 더위에 약한 닭이 121만여 마리로 가장 많고 오리가 2만3천여 마리, 돼지가 4백여 마리나 됩니다.
앞으로 최소 2주간 불볕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돼 폐사 가축이 200만 마리에 육박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가축 폐사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두 배 이상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요.
먼저 축사 지붕과 처마 옆에 그늘막을 설치해 주고, 해가 질 때까지 환풍기를 이용해 시원한 바람을 공급해줘야 합니다.
또 가축에게 물 공급을 충분히 해주고 상한 사료가 있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고온 스트레스를 막기 위해 비타민과 미네랄, 아미노산, 소금 등을 공급해줘야 합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모기와 전염병 피해가 생길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주변 소독을 철저히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앵커]
오늘도 심상치 않은 더위가 이어지고 있는데, 전국적으로 폭염 특보가 내려져 있다고요?
[기자]
오늘도 무척이나 무덥습니다.
오전 11시를 기해서 경기와 강원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폭염 특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오늘도 어제와 비슷하게 찜통더위, 가마솥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
특히 강원 동해안과 영남·호남 일부 지역은 낮 최고 기온이 35도를 훌쩍 넘었습니다.
벌써 울산과 포항은 낮 기온이 36도까지 올랐고, 강릉과 전주 등도 34도를 웃돌고 있습니다.
울산과 대구, 경남에서는 합천을 포함한 6개 시·군, 경북에서는 봉화군 산간, 울진군 산간, 문경시, 영양군 산간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폭염 경보가 내려졌습니다.
또 전남지역에서도 화순 등 4개 시·군, 전북에서는 전주와 정읍, 익산, 정읍, 완주군, 강원에서는 삼척시 평지, 강릉시 평지에 폭염 경보가 발효됐습니다.
폭염 주의보 역시 전국 대부분 지역에 내려져 있습니다.
제주 일부 지역과 강원, 충북, 서울·경기 지역을 제외한 전국 전체에 폭염 주의보가 발효됐습니다.
앞으로 계속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열사병 등 온열 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자주 물을 마시고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은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는 실외 활동을 금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 물을 평소보다 자주 섭취하고 실내에서는 통풍이 잘되도록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전북 김제에서 YTN 백종규[jongkyu87@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 역시 무덥다 못해 뜨겁습니다.
전국 곳곳에 35도가 넘는 곳이 나오고 있고 전국적으로 폭염 특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계속되는 무더위 속에 최근 열사병으로 숨진 사람이 계속 나오고 있고 가축 폐사율도 높아 120만 마리가 넘는 가축들이 폐사했습니다.
전북 김제 양계 농가에 취재 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백종규 기자!
일주일 넘게 이어진 폭염 때문에 가축 폐사율이 높고 산란율도 떨어져 농민들이 힘들어한다고요?
[기자]
계속되는 찜통더위 속에 고생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더위 때문에 사람만 힘든 것이 아닙니다.
지금 저는 양계장에 나와 있는데요.
닭의 경우 낮 기온이 30도가 넘으면 닭은 산란율이 떨어지고 폐사율도 급격하게 높아집니다.
이곳은 환기 시설과 냉방 시설까지 갖췄지만, 가마솥더위가 이어지면서 닭들 역시 힘들어 보입니다.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다 보니 폐사하는 개체 수도 계속 늘고 있습니다.
농민들이 자식처럼 돌보고 있지만, 주인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폐사하는 가축들이 늘고 있어 안타깝기만 합니다.
AI 때문에 마음고생 했던 농가들은 폭염 때문에 또 피해를 보고 있는 모습을 보니까 마음이 안 좋은데요.
최근 NH 농협손해보험이 가축재해보험 폭염 특약으로 접수한 피해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 6월 28일부터 지난 2일 사이에 폐사한 닭·오리·돼지는 123만4천여 마리로 집계됐습니다.
가축 종류별로는 더위에 약한 닭이 121만여 마리로 가장 많고 오리가 2만3천여 마리, 돼지가 4백여 마리나 됩니다.
앞으로 최소 2주간 불볕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돼 폐사 가축이 200만 마리에 육박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가축 폐사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두 배 이상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요.
먼저 축사 지붕과 처마 옆에 그늘막을 설치해 주고, 해가 질 때까지 환풍기를 이용해 시원한 바람을 공급해줘야 합니다.
또 가축에게 물 공급을 충분히 해주고 상한 사료가 있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고온 스트레스를 막기 위해 비타민과 미네랄, 아미노산, 소금 등을 공급해줘야 합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모기와 전염병 피해가 생길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주변 소독을 철저히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앵커]
오늘도 심상치 않은 더위가 이어지고 있는데, 전국적으로 폭염 특보가 내려져 있다고요?
[기자]
오늘도 무척이나 무덥습니다.
오전 11시를 기해서 경기와 강원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폭염 특보가 내려져 있습니다.
오늘도 어제와 비슷하게 찜통더위, 가마솥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
특히 강원 동해안과 영남·호남 일부 지역은 낮 최고 기온이 35도를 훌쩍 넘었습니다.
벌써 울산과 포항은 낮 기온이 36도까지 올랐고, 강릉과 전주 등도 34도를 웃돌고 있습니다.
울산과 대구, 경남에서는 합천을 포함한 6개 시·군, 경북에서는 봉화군 산간, 울진군 산간, 문경시, 영양군 산간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폭염 경보가 내려졌습니다.
또 전남지역에서도 화순 등 4개 시·군, 전북에서는 전주와 정읍, 익산, 정읍, 완주군, 강원에서는 삼척시 평지, 강릉시 평지에 폭염 경보가 발효됐습니다.
폭염 주의보 역시 전국 대부분 지역에 내려져 있습니다.
제주 일부 지역과 강원, 충북, 서울·경기 지역을 제외한 전국 전체에 폭염 주의보가 발효됐습니다.
앞으로 계속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열사병 등 온열 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자주 물을 마시고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은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는 실외 활동을 금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 물을 평소보다 자주 섭취하고 실내에서는 통풍이 잘되도록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전북 김제에서 YTN 백종규[jongkyu87@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