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민주화 시위 '우산혁명'으로 이어지나?

홍콩 민주화 시위 '우산혁명'으로 이어지나?

2014.09.30. 오후 12: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홍콩에서 민주화 시위가 사흘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은행과 학교들이 상당수 문을 닫아 주요 기능이 사실상 마비상태에 빠졌습니다.

특히 경찰이 발사한 최루가스를 시위대가 우산으로 막아내는 모습이 전 세계에 알려지면서 이번 시위는 이른바 '우산 혁명, Umbrella Revolution'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국제부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순한 기자!

이번 홍콩의 민주화 시위가 일어난 원인부터 짚어 볼까요?

[기자]

이번 홍콩의 민주화 시위는 중국이 내 놓은 2017년 차기 홍콩 행정장관 선거안이 발단이 됐습니다.

지난달 말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인대는 홍콩 행정장관 후보 추천위원 1,200명 가운데 절반 이상의 지지를 얻은 2~3명만 입후보할 수 있게 하는 선거안을 마련했는데요.

홍콩의 행정장관 입후보 자격을 사실상 친중국 인사로 제한한 것이란 반발을 불렀고, 결국 시민과 학생들이 들고 일어나는 대규모 시위로 이어진 겁니다.

시위 참가자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시위대]
"우리의 요구는 분명합니다. 우리는 민주주의를 원하고 공정하게 홍콩의 행정장관을 뽑기를 원합니다."

[앵커]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대규모 시위로 홍콩의 주요 기능들이 마비됐죠?

[기자]

홍콩 시민과 학생 1만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사흘째 계속되고 있는 대규모 민주화 시위로 홍콩의 주요 기능이 마비됐습니다.

정부 청사가 있는 홍콩섬 서부 지역 주요 도로를 시위대가 점거하면서, 국회에 해당하는 입법회의 주요 일정이 모두 취소됐고요.

은행 29개 지점이 문을 닫았는가 하면, 점거 지역을 지나는 버스 200여 대의 운행이 중단되면서 일부 학교도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앵커]

시위가 확산되자 중국 정부가 강경 대응 입장을 밝혔죠?

[기자]

중국 정부는 이번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불법으로 규정했습니다.

그러면서 홍콩 당국에 강경한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또 다른 나라들에게도 이번 시위를 지지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인터뷰: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
"관련국들이 이번 사안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해서 시위대들에게 잘못된 신호를 보내지 않기를 바랍니다."

앞서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도 정면 대응 방침을 분명히 하면서 최루탄 등을 동원해 강제 해산 작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민주화 시위 주도 세력은 중국과 홍콩 당국의 강경 대응 방침에도 집회를 계속 이어갈 예정이어서 큰 충돌이 우려됩니다.

[앵커]

이번 홍콩의 민주화 시위가 '우산 혁명'으로 불리고 있죠?

그 이유가 뭔가요?

[기자]

'우산 혁명'이란 말은 트위터를 통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데요.

시위대가 경찰의 최루액 스프레이와 최루탄 가스를 우산으로 막아내는 모습이 전 세계에 알려지면서 이런 이름이 붙게됐습니다.

'우산 혁명'이란 이름이 붙었다는 것은 이번 홍콩 민주화 시위가 큰 상징성을 갖게 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평화적 수단을 내세운 민주화 시위로 유명한 2003년 조지아의 '장미 혁명'과 2005년 우크라이나의 '오렌지 혁명' 그리고 2010년에서 2011년 독재 정권에 항거한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과 같은 반열에 오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움직임을 우려한 중국 정부가 조기에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힌 것으로 분석되는데, 홍콩에 주둔하고 있는 중국 인민해방군 6천 명이 동원될지 여부가 큰 관심입니다.

하지만 지난 1989년 톈안먼 사태를 무력 진압해 국제적으로 큰 비난을 받은 적이 있어 군 투입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습니다.

[앵커]

홍콩의 일부 국회의원들이 행정장관 퇴진 요구를 하는가 하면, 미국과 타이완도 시위대의 말에 귀 기울이라고 촉구했죠?

[기자]

홍콩 입법회 범민주파 소속 의원 23명은 렁춘잉 행정장관 탄핵 관련 논의를 위한 회의 소집을 요구했고요.

친중국 노선인 마잉주 타이완 총통조차 홍콩 시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이해한다고 사실상 지지 발언을 했습니다.

[인터뷰:마잉주, 타이완 총통]
"보통선거의 원칙을 지켜낸다면, 홍콩과 중국 본토 모두에 유익할 것입니다."

미국 정부도 홍콩 당국의 자제와 자유로운 의사 표현 보장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
"기본 법률을 바탕으로 한 보통선거와 홍콩인들의 열망을 지지합니다."

아시아의 금융 중심 홍콩의 시위 사태는 국제 금융시장에도 파장을 던졌습니다.

뉴욕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고, 유럽 주요 증시도 은행주들이 맥을 못 춰 약세로 장을 마쳤습니다.

중국 국경절 연휴의 시작일인 내일 대규모 시위가 예고돼 있는데, 이번 민주화 시위의 큰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