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중앙대 특혜 의혹에서 시작된 박범훈 전 수석 사건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앙대 재단을 운영하는 두산그룹까지 수사 대상으로 거론되면서, 기업 수사로 버질 조짐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승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사건의 단초는 중앙대 본교와 안성캠퍼스의 통합, 그리고 간호대 인수 합병 과정에서 불거졌습니다.
관련법에 어긋나 추진하지 못했던 중앙대의 숙원 사업들은 박범훈 전 수석의 청와대 재임 기간 동안 속전속결로 해결됐습니다.
박 전 수석이 교육부 관계자들에게 외압을 넣어 법이 바뀌고 사업 승인을 받게 도와 이득을 챙겼다는 것이 의혹의 핵심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공범으로 지목된 교육부 관료 3인방은 현재 피의자 신분으로 다음주 소환 조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일 박 전 수석과 관련 의혹들이 눈덩이 처럼 불어나면서, 수사의 방향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습니다.
중앙대 재단을 운영하는 두산그룹과 박 전 수석의 수상한 관계를 보여주는 의혹들이 잇따라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박 전 수석 부인은 두산타워 상사를 시세보다 낮은 임차료를 내고 분양받았고, 30대 초반의 딸이 중앙대 교수로 채용되는가 하면 본인은 청와대 퇴임 뒤 두산 계열사 사외 이사로 선임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박 전 수석과 두산의 밀월 관계가 의심되는 의혹들이 쏟아지면서 수사 방향에 대한 검찰의 기류도 조금 바뀌었습니다.
수사 초반, 수사 대상을 중앙대와 교육대로 한정하는 모습이었지만, 지금은 기업수사로 묶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해 수사 확대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내비쳤습니다.
박범훈 전 수석의 개인비리로 시작된 이번 수사가 국내 굴지의 대기업까지 확대될 수 있는 모양새를 보이면서 수사의 불똥이 어디로 튀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YTN 이승현[hyu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앙대 특혜 의혹에서 시작된 박범훈 전 수석 사건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앙대 재단을 운영하는 두산그룹까지 수사 대상으로 거론되면서, 기업 수사로 버질 조짐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승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사건의 단초는 중앙대 본교와 안성캠퍼스의 통합, 그리고 간호대 인수 합병 과정에서 불거졌습니다.
관련법에 어긋나 추진하지 못했던 중앙대의 숙원 사업들은 박범훈 전 수석의 청와대 재임 기간 동안 속전속결로 해결됐습니다.
박 전 수석이 교육부 관계자들에게 외압을 넣어 법이 바뀌고 사업 승인을 받게 도와 이득을 챙겼다는 것이 의혹의 핵심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공범으로 지목된 교육부 관료 3인방은 현재 피의자 신분으로 다음주 소환 조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일 박 전 수석과 관련 의혹들이 눈덩이 처럼 불어나면서, 수사의 방향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습니다.
중앙대 재단을 운영하는 두산그룹과 박 전 수석의 수상한 관계를 보여주는 의혹들이 잇따라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박 전 수석 부인은 두산타워 상사를 시세보다 낮은 임차료를 내고 분양받았고, 30대 초반의 딸이 중앙대 교수로 채용되는가 하면 본인은 청와대 퇴임 뒤 두산 계열사 사외 이사로 선임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박 전 수석과 두산의 밀월 관계가 의심되는 의혹들이 쏟아지면서 수사 방향에 대한 검찰의 기류도 조금 바뀌었습니다.
수사 초반, 수사 대상을 중앙대와 교육대로 한정하는 모습이었지만, 지금은 기업수사로 묶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해 수사 확대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내비쳤습니다.
박범훈 전 수석의 개인비리로 시작된 이번 수사가 국내 굴지의 대기업까지 확대될 수 있는 모양새를 보이면서 수사의 불똥이 어디로 튀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YTN 이승현[hyu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