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비리 핵심 '학연·지연'으로 뭉친 철피아!

철도비리 핵심 '학연·지연'으로 뭉친 철피아!

2014.07.07. 오후 3: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검찰의 집중 수사를 받고 있는 철도부품 납품비리 의혹의 핵심에는 이른바 '철피아'라는 비리 구조가 있습니다.

이들은 학연과 지연 등을 중심으로 똘똘 뭉쳐서 검은 거래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염혜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5월말 서울중앙지검은 철도시설공단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합니다.

철도 시설 관련 공사를 발주하고 납품하는 과정에 정부관료와 민간업체들이 유착돼 비리 구조로 움직이고 있다고 봤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수사결과를 보면 철도비리의혹의 핵심 인사들은 학연과 지연으로 얽혀 있습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김광재 전 철도공단 이사장은 대학 후배인 권 모 전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을 통해서 거액의 돈을 챙긴 의혹을 받았습니다.

공사의 발주를 맡은 실무 책임자 역시 김 전 이사장이 발탁한 대학 후배로 드러났습니다.

납품업체들은 철도공단에서 계약을 따내기 위해 철도공사나 철도공단 출신의 고위 간부들을 대거 영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비창구로 활용하기 위해섭니다.

이 과정에서도 특정 고등학교나 대학교의 인맥이 뿌리 깊이 얽혀 있습니다.

퇴직자들은 지역과 학교가 같다는 점을 내세워 로비에 나서고 현직 임원들은 퇴임 후를 대비해 청탁을 들어줄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인터뷰:김철,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위원]
"(철도공사나 공단 등) 여기서 퇴직하는 분들이 민간업체로 가면서 끈끈하게 서로 선후배 관계들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이게 철피아의 문제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를 봐도 철도공사 직원들의 재취업 비율은 70%가 넘을 정도로 아주 높습니다.

특히 일부 업체는 공단의 고위 임원을 영입한 뒤 업계 10위권인 수주 순위가 3위로 뛰기도 했습니다.

업체 입장에서는 그만큼 투자할 매력을 느낄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 문제는 향응과 뒷돈 등 검은거래가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실제 검찰 수사과정에서 특정고 출신의 감사원 감사관과 구매업무를 담당하는 공단간부들이 줄줄이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검찰이 이른바 관료 마피아의 첫 대상으로 철피아를 겨냥한 것인만큼 앞으로 수사를 통해 뿌리 깊은 검은 고리의 실체가 파헤쳐 질 지 주목됩니다.

YTN 염혜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