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탄소배출 감축 노력...우리는?

유럽의 탄소배출 감축 노력...우리는?

2012.11.15. 오후 12:2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사고 파는 제도가 이미 시행중인 유럽에서는 탄소를 줄이기 위한 정부와 민간의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2015년 이 제도 시행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각별히 눈여겨 볼 대목이 많다고 합니다.

황보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영국의 한 주택 연구단지 안에 세워진 집입니다.

자재 대부분은 친환경 목재입니다.

3중 창과 마찬가지로 열이 쉽게 빠져 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지붕 일부엔 흙이 덮여져 있습니다.

전기는 대부분 태양열 발전에서 끌어쓰고 있습니다.

이 단지는 2016년부터 신축주택에 적용될 친환경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영국의 친환경 주택건설 지원에는 찰스 왕세자도 적극적으로 나섰습니다.

몇해전 이곳을 방문한 찰스 왕세자는 영국인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에 고효율 저탄소 기술을 접목을 주택을 이곳에 직접 건설했습니다.

19개 동으로 구성된 독일 베를린 시내의 이 대형 상가는 지하 3개층이 모두 연결돼 있습니다.

물류와 쓰레기 처리를 공동으로 함으로써 비용과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디터 크뤼거, 쓰레기처리회사 매니저]
"쓰레기를 지하에 한 곳으로 모아 처리해 비용을 30% 정도 아낄 수 있으며 지상에서 쓰레기 수거 차량들이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도 그 만큼 줄일 수 있습니다."

2005년부터 나라별로 탄소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해온 유럽에선 내년부터 EU가 직접 탄소배출 할당량을 정하기 때문에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우리나라도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지만 정작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미흡한 게 현실.

특히 정부가 기업들의 탄소배출 할당량을 정할때 더 많은 할당을 받기 위한 기업들의 로비가 예상되는 만큼 보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인터뷰:펠릭스, 유럽탄소거래 시스템 설계자]
"탄소배출 할당과 관련한 기업들의 수많은 로비가 정부에게 밀려 들어올 것입니다. 이런 요구들을 다 들어주면 제도 자체가 길을 잃을 뿐 아니라 너무 복잡해 집니다."

전문가들은 탄소 거래제를 먼저 시행한 나라들이 겪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상 기업들의 탄소 배출 현황과 기술력 등 자료 축적과 꼼꼼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YTN 황보연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