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1분기 경제성장률이 2.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기 경제성장률이 3%대 아래로 떨어진 것은 2년 반 만인데, 그나마 지난 4분기보다는 다소 나아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홍성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GDP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8% 성장에 그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경제성장률이 3% 아래로 떨어진 것은 1% 성장을 기록했던 지난 2009년 3분기 이후 2년 반 만입니다.
한국은행은 그러나 전기 대비 경제성장률은 0.9%로, 0.3%를 기록했던 지난 4분기보다는 다소 상황이 호전되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인터뷰:김영배,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잠재성장률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으로 볼 수 있겠는데, 세계 경제 여건이 안 좋은 상황에서는 그 정도도 적정한 선방..."
지난해 4분기보다 건설투자가 감소했지만, 소비와 설비투자가 늘었고, 수출은 감소에서 다시 증가로 전환됐습니다.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등에 힘입어 수출이 전분기보다 3.4% 늘었지만 수입도 그만큼 늘어 수출이 성장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습니다.
대신 정부소비가 3.1%나 늘어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이 성장률을 일정 부분 떠받혔고, 민간 소비도 4분기 마이너스에서 1% 증가로 돌아섰습니다.
[인터뷰: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성장률이 민간소비도 2분기 이후로 저점을 찍고 올라오고 수출부분에서도 플러스 요인이 작용한다면 저점을 찍고 2분기 이후에는 완만하게 회복세를 보이는 형국으로 판단됩니다."
경제활동별 GDP는 건설업이 줄고 제조업이 늘었는데, 제조업은 역시 자동차와 석유화학제품 등에 힘입어 전기 대비 2.2%, 전년 동기 대비 4.2%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세계 경기 탓에 수출의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당분간 민간소비가 얼마나 경제성장을 뒷받침할지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YTN 홍성혁[hongs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1분기 경제성장률이 2.8%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기 경제성장률이 3%대 아래로 떨어진 것은 2년 반 만인데, 그나마 지난 4분기보다는 다소 나아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홍성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GDP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8% 성장에 그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경제성장률이 3% 아래로 떨어진 것은 1% 성장을 기록했던 지난 2009년 3분기 이후 2년 반 만입니다.
한국은행은 그러나 전기 대비 경제성장률은 0.9%로, 0.3%를 기록했던 지난 4분기보다는 다소 상황이 호전되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인터뷰:김영배,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잠재성장률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으로 볼 수 있겠는데, 세계 경제 여건이 안 좋은 상황에서는 그 정도도 적정한 선방..."
지난해 4분기보다 건설투자가 감소했지만, 소비와 설비투자가 늘었고, 수출은 감소에서 다시 증가로 전환됐습니다.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등에 힘입어 수출이 전분기보다 3.4% 늘었지만 수입도 그만큼 늘어 수출이 성장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습니다.
대신 정부소비가 3.1%나 늘어 정부의 재정 조기집행이 성장률을 일정 부분 떠받혔고, 민간 소비도 4분기 마이너스에서 1% 증가로 돌아섰습니다.
[인터뷰: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성장률이 민간소비도 2분기 이후로 저점을 찍고 올라오고 수출부분에서도 플러스 요인이 작용한다면 저점을 찍고 2분기 이후에는 완만하게 회복세를 보이는 형국으로 판단됩니다."
경제활동별 GDP는 건설업이 줄고 제조업이 늘었는데, 제조업은 역시 자동차와 석유화학제품 등에 힘입어 전기 대비 2.2%, 전년 동기 대비 4.2%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세계 경기 탓에 수출의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당분간 민간소비가 얼마나 경제성장을 뒷받침할지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YTN 홍성혁[hongs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