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고정형 주택담보 대출금리가 10%선에 육박했습니다.
변동형 금리도 연중 최고 수준이어서, 가계의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현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주 신한은행의 고정금리형 주택대출금리는 8.4~10%를 기록했습니다.
이 은행의 최고 금리 추이는 올초 9.33%에서 지난 5월 7.89%로 하락했다가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 다섯 달만에 2.11%나 뛰어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1억 원을 대출받았을 경우, 이자만 1,000만 원이어서 연간 200만 원이 넘는 추가 부담이 생기는 셈입니다.
각 은행의 최고 금리 역시 국민은행 9.81%, 우리은행 9.74%,기업은행 9.46% 등 10%선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원화 유동성 부족의 여파로 은행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주택대출 고정금리의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양도성 예금증서, CD에 연동하는 변동금리형 역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개월 CD금리는 현재 연 5.88%로 지난 1월이후 아홉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 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 대출 금리도 6%후반에서 8%초, 중반까지 급등해 서민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이자 부담이 커질수록 소비는 더욱 위축돼 실물 경제 회복에도 악영향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김정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
"금융기관 부실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가 장기화되면 내수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 당국이 통화 공급 확대나 금리 인하 등을 통해 유동성 정책을 신축적으로 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YTN 현덕수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고정형 주택담보 대출금리가 10%선에 육박했습니다.
변동형 금리도 연중 최고 수준이어서, 가계의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현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주 신한은행의 고정금리형 주택대출금리는 8.4~10%를 기록했습니다.
이 은행의 최고 금리 추이는 올초 9.33%에서 지난 5월 7.89%로 하락했다가 이후 상승세로 돌아서 다섯 달만에 2.11%나 뛰어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1억 원을 대출받았을 경우, 이자만 1,000만 원이어서 연간 200만 원이 넘는 추가 부담이 생기는 셈입니다.
각 은행의 최고 금리 역시 국민은행 9.81%, 우리은행 9.74%,기업은행 9.46% 등 10%선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원화 유동성 부족의 여파로 은행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주택대출 고정금리의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양도성 예금증서, CD에 연동하는 변동금리형 역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개월 CD금리는 현재 연 5.88%로 지난 1월이후 아홉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 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 대출 금리도 6%후반에서 8%초, 중반까지 급등해 서민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이자 부담이 커질수록 소비는 더욱 위축돼 실물 경제 회복에도 악영향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김정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
"금융기관 부실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가 장기화되면 내수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 당국이 통화 공급 확대나 금리 인하 등을 통해 유동성 정책을 신축적으로 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YTN 현덕수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