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연평도 포격 당시 해병부대의 자주포 대응사격이 정확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자주포 성능과 포병기술의 문제보다는 정찰자산 부족 때문이었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상업위성 사진에 따르면 북한 개머리 진지의 방사포대 부근에는 별다른 탄착지점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논밭에 떨어진 14발 외에 다른 16발의 위치가 드러나지 않는 것입니다.
군 당국은 미국 측 군사위성을 통해 정밀분석한 결과 문제의 방사포 6문 일대에 상업위성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은 다수의 탄착점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방사포 진지에 직접적인 타격을 줬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내용입니다.
군 당국은 북측의 교통호가 매몰되고 시설에 화재가 발생했으며 다수의 사상자가 난 것으로 추정할 뿐, 보다 구체적인 피해 분석결과는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자주포탄이 대거 논밭에 엉뚱하게 떨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갖가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K-9 자주포의 성능이나 사격기술 부족이라기보다 다른 부분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사격을 하고 나서 반드시 사격의 결과를 확인하고 수정탄을 날릴 기회가 있어야 하는데, 연평도 부대에는 기상이라든지 확인을 할 수 있는 정찰자산이 없기 때문에 수정탄을 날릴 수 있는 기회가 없었던 것이죠."
연평도에 배치된 별도의 무인정찰기가 없어 제때 탄착지점을 확인하고 수정탄을 사격할 여건이 되지 못했다는 설명입니다.
또 풍속의 변화가 심한 연평도 부대에 자체 기상팀이 없어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지 못했던 점도 사격의 정확성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군 당국도 자주포 사격 결과는 장병의 숙련도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자주포에 입력된 기상정보 등이 연평도에 맞게 돼 있었는지 세부적으로 분석해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강진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연평도 포격 당시 해병부대의 자주포 대응사격이 정확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자주포 성능과 포병기술의 문제보다는 정찰자산 부족 때문이었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상업위성 사진에 따르면 북한 개머리 진지의 방사포대 부근에는 별다른 탄착지점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논밭에 떨어진 14발 외에 다른 16발의 위치가 드러나지 않는 것입니다.
군 당국은 미국 측 군사위성을 통해 정밀분석한 결과 문제의 방사포 6문 일대에 상업위성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은 다수의 탄착점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방사포 진지에 직접적인 타격을 줬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내용입니다.
군 당국은 북측의 교통호가 매몰되고 시설에 화재가 발생했으며 다수의 사상자가 난 것으로 추정할 뿐, 보다 구체적인 피해 분석결과는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자주포탄이 대거 논밭에 엉뚱하게 떨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갖가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K-9 자주포의 성능이나 사격기술 부족이라기보다 다른 부분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사격을 하고 나서 반드시 사격의 결과를 확인하고 수정탄을 날릴 기회가 있어야 하는데, 연평도 부대에는 기상이라든지 확인을 할 수 있는 정찰자산이 없기 때문에 수정탄을 날릴 수 있는 기회가 없었던 것이죠."
연평도에 배치된 별도의 무인정찰기가 없어 제때 탄착지점을 확인하고 수정탄을 사격할 여건이 되지 못했다는 설명입니다.
또 풍속의 변화가 심한 연평도 부대에 자체 기상팀이 없어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지 못했던 점도 사격의 정확성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군 당국도 자주포 사격 결과는 장병의 숙련도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자주포에 입력된 기상정보 등이 연평도에 맞게 돼 있었는지 세부적으로 분석해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강진원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