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지난 22일 처리된 미디어법의 부정 투표 논란을 놓고 여야의 공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대리 투표 의혹을 입증할 만한 증거라며 전자 투표 자료를 공개했고,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주장은 허구로 밝혀졌다며 헌법재판소 결정을 기다리자고 반박했습니다.
김종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회 사무처가 민주당에 제출한 전자 투표 로그인 기록입니다.
지난 22일 국회 본회의에서 신문법을 처리할 당시 각 의원이 어떤 의사를 표시했는지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스크린 방식으로 투표한 한 의원은 재석을 뜻하는 1번 버튼에 이어 찬성을 뜻하는 2번 버튼을 누른 것으로 돼있습니다.
그런데, 1분 19초 뒤 투표 방식은 버튼식으로 바뀌어 거듭 의석에 앉은 것으로 표시됐고, 이어 다시 스크린 방식으로 바뀌더니 취소를 뜻하는 5번과 찬성 버튼을 잇따라 누른 것으로 나옵니다.
불과 34초 사이에 투표 방식을 바꿔가며 재석과 찬성 버튼을 두 번씩 연속 누른 경우도 있습니다.
민주당은 이처럼 찬성 표시 등이 반복돼 나온 17건을 포함해 비정상적인 투표 34건이 확인됐다며, 대리 부정 투표가 아니고서는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전병헌, 민주당 문방위 간사]
"로그 기록만으로도 이미 신문법은 대리 부정 투표를 사실상 확인한 자료로서, 신문법도 방송법과 함께 원천무효라는 점을..."
반면 한나라당은 오히려 민주당 측의 역대리 투표와 투표 방해가 본질이라는 입장입니다.
민주당의 주장이 국회법 등을 통해 논리 구조가 다 깨졌다며, 말싸움을 접고 헌법재판소 결정을 지켜볼 때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장광근, 한나라당 사무총장]
"이제 민주당에 의해서 헌법재판소까지 처리 과정이 옮겨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논리나 근거로 말싸움할 시기는 이미 지나버렸다..."
한나라당은 법률팀을 꾸려 답변서 작성 등 법적 대응을 하기로 했고, 민주당은 채증단을 적극 가동하면서 국회 사무처에 요구한 관련 자료를 가감없이 낼 것을 요구했습니다.
미디어법 처리 이후 투표 정당성 문제를 놓고 여야가 다시 한번 양보 없는 대격돌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YTN 김종욱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22일 처리된 미디어법의 부정 투표 논란을 놓고 여야의 공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대리 투표 의혹을 입증할 만한 증거라며 전자 투표 자료를 공개했고,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주장은 허구로 밝혀졌다며 헌법재판소 결정을 기다리자고 반박했습니다.
김종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회 사무처가 민주당에 제출한 전자 투표 로그인 기록입니다.
지난 22일 국회 본회의에서 신문법을 처리할 당시 각 의원이 어떤 의사를 표시했는지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스크린 방식으로 투표한 한 의원은 재석을 뜻하는 1번 버튼에 이어 찬성을 뜻하는 2번 버튼을 누른 것으로 돼있습니다.
그런데, 1분 19초 뒤 투표 방식은 버튼식으로 바뀌어 거듭 의석에 앉은 것으로 표시됐고, 이어 다시 스크린 방식으로 바뀌더니 취소를 뜻하는 5번과 찬성 버튼을 잇따라 누른 것으로 나옵니다.
불과 34초 사이에 투표 방식을 바꿔가며 재석과 찬성 버튼을 두 번씩 연속 누른 경우도 있습니다.
민주당은 이처럼 찬성 표시 등이 반복돼 나온 17건을 포함해 비정상적인 투표 34건이 확인됐다며, 대리 부정 투표가 아니고서는 이런 결과가 나올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전병헌, 민주당 문방위 간사]
"로그 기록만으로도 이미 신문법은 대리 부정 투표를 사실상 확인한 자료로서, 신문법도 방송법과 함께 원천무효라는 점을..."
반면 한나라당은 오히려 민주당 측의 역대리 투표와 투표 방해가 본질이라는 입장입니다.
민주당의 주장이 국회법 등을 통해 논리 구조가 다 깨졌다며, 말싸움을 접고 헌법재판소 결정을 지켜볼 때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장광근, 한나라당 사무총장]
"이제 민주당에 의해서 헌법재판소까지 처리 과정이 옮겨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논리나 근거로 말싸움할 시기는 이미 지나버렸다..."
한나라당은 법률팀을 꾸려 답변서 작성 등 법적 대응을 하기로 했고, 민주당은 채증단을 적극 가동하면서 국회 사무처에 요구한 관련 자료를 가감없이 낼 것을 요구했습니다.
미디어법 처리 이후 투표 정당성 문제를 놓고 여야가 다시 한번 양보 없는 대격돌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YTN 김종욱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