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국내 케이블TV 가입 가구가 1,400만에 이를 만큼 성장하면서 이를 이용한 신종 사기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각 가정집을 돌며 케이블TV 직원을 사칭해 시청료를 불법으로 징수해 간다는 것인데, C&M 이창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단독 다세대 가구가 밀집한 서울의 한 주택가입니다.
대부분의 가정은 난시청 해소를 위해 지역 케이블TV에 가입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곳에 이상한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포함해 한달에 2만 원 꼴인 케이블TV 이용 요금을 누군가 찾아와 걷어 간다는 것입니다.
[인터뷰:CATV 시청료 사기 피해자]
"요금이 많이 밀렸다고 화를 내는거예요. 연체됐는데 어떻게 TV를 보냐고하면서… 저도 안 줄 마음은 아니였는데, 그 사람이 지로 영수증을 우편함에서 찾아 갖고 왔더라고요."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 가구는 모두 20여 세대.
하지만 지금도 신고 건수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원인은 요금 납부 방식 때문.
보통 가정에선 자동 이체나 지로 납부 방식을 이용해 왔습니다.
자동이체는 매월 계좌에서 일정 금액이 빠지기 때문에 이런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반면 지로 납부 방식의 경우는 문제가 다릅니다.
고객의 집을 찾아가 우편함에 있는 지로영수증을 뜯고, 대범하게도 가입자에게 돈을 요구한 것입니다.
심지어 이들은 가입자의 직장에까지 찾아가 돈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피해자들은 일단 요금을 냈다는 생각에 안심했지만, 요금 독촉 안내를 받고 나서야 자신이 사기 당했다는 걸 알게 됩니다.
[인터뷰:진구, 케이블TV 노원방송 마케팅 과장]
"사기범이 동일 인물로 확인 돼서 저희가 영수증을 확보해서 형사 고발 준비 중입니다."
케이블 TV업계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누군가 가입자 개인정보를 악용해 돈을 뜯어내는 수법은 명백한 형사처벌 대상이라는 것입니다.
[인터뷰:이용식,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매체지원사업국 부장]
"(가입자를 속여) 사기범 개인의 부를 축적하기 위해 한 행위로 명백히 형법에 위배 돼 처벌을 받게 됩니다."
고유가와 공공요금 인상 예고로 민심이 흉흉해 지면서 이처럼 생활 밀착형 사기 범죄가 서민들을 두 번 울리고 있습니다.
C&M 뉴스 이창남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내 케이블TV 가입 가구가 1,400만에 이를 만큼 성장하면서 이를 이용한 신종 사기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각 가정집을 돌며 케이블TV 직원을 사칭해 시청료를 불법으로 징수해 간다는 것인데, C&M 이창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단독 다세대 가구가 밀집한 서울의 한 주택가입니다.
대부분의 가정은 난시청 해소를 위해 지역 케이블TV에 가입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곳에 이상한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을 포함해 한달에 2만 원 꼴인 케이블TV 이용 요금을 누군가 찾아와 걷어 간다는 것입니다.
[인터뷰:CATV 시청료 사기 피해자]
"요금이 많이 밀렸다고 화를 내는거예요. 연체됐는데 어떻게 TV를 보냐고하면서… 저도 안 줄 마음은 아니였는데, 그 사람이 지로 영수증을 우편함에서 찾아 갖고 왔더라고요."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 가구는 모두 20여 세대.
하지만 지금도 신고 건수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원인은 요금 납부 방식 때문.
보통 가정에선 자동 이체나 지로 납부 방식을 이용해 왔습니다.
자동이체는 매월 계좌에서 일정 금액이 빠지기 때문에 이런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반면 지로 납부 방식의 경우는 문제가 다릅니다.
고객의 집을 찾아가 우편함에 있는 지로영수증을 뜯고, 대범하게도 가입자에게 돈을 요구한 것입니다.
심지어 이들은 가입자의 직장에까지 찾아가 돈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피해자들은 일단 요금을 냈다는 생각에 안심했지만, 요금 독촉 안내를 받고 나서야 자신이 사기 당했다는 걸 알게 됩니다.
[인터뷰:진구, 케이블TV 노원방송 마케팅 과장]
"사기범이 동일 인물로 확인 돼서 저희가 영수증을 확보해서 형사 고발 준비 중입니다."
케이블 TV업계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누군가 가입자 개인정보를 악용해 돈을 뜯어내는 수법은 명백한 형사처벌 대상이라는 것입니다.
[인터뷰:이용식,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매체지원사업국 부장]
"(가입자를 속여) 사기범 개인의 부를 축적하기 위해 한 행위로 명백히 형법에 위배 돼 처벌을 받게 됩니다."
고유가와 공공요금 인상 예고로 민심이 흉흉해 지면서 이처럼 생활 밀착형 사기 범죄가 서민들을 두 번 울리고 있습니다.
C&M 뉴스 이창남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