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홍콩 대형 화재로 최소 83명이 사망하고 200명 넘는 실종자가 발생한 가운데, 공사 인부의 흡연으로 인한 실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7일 엑스(X·옛 트위터)에는 “홍콩 화재 아파트 주민들은 공사 인부가 담배를 피웠다고 했다”는 글과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에서 촬영된 것으로 보이는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해당 영상에는 건설 노동자로 보이는 한 남성이 아파트 외벽에 리모델링을 위해 설치된 대나무 비계(높은 건물 공사를 위해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 위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었습니다.
이 남성은 한 여성이 “또 여기서 담배를 피우느냐”는 물음에 놀라 뒤돌아보는 모습이었습니다.
해당 아파트는 1983년 준공된 노후 건물로, 지난해 7월부터 대규모 보수 공사가 진행돼 왔습니다.
주민들은 공사 기간 동안 노동자들의 흡연 장면을 여러 차례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주요 언론은 “불길이 비계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흡연으로 인한 담뱃불 발화 가능성을 주요 원인으로 보도했습니다.
한 주민들은 “창문을 닫아도 비계 쪽에서 담배 냄새가 들어왔다”며 “수리 작업자가 공사 구역에서 흡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홍콩에서 흔히 사용되는 대나무 비계가 화재 확산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중국 본토와 달리 금속 비계 사용이 의무화돼 있지 않아, 가연성이 높은 대나무가 그대로 사용됐다는 지적입니다.
여기에 불량 난연 그물망, 엘리베이터 홀의 스티로폼 자재·가구 등 가연성 물질이 많아 화염이 빠르게 번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콩 소방당국은 브리핑에서 “초기 조사 결과, 대나무 비계와 잡동사니에 붙은 불이 바람을 타고 날아가 화염이 7개 동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른 재난 원인 규명과 부실 공사 여부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출처ㅣX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7일 엑스(X·옛 트위터)에는 “홍콩 화재 아파트 주민들은 공사 인부가 담배를 피웠다고 했다”는 글과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에서 촬영된 것으로 보이는 영상이 공개됐습니다.
해당 영상에는 건설 노동자로 보이는 한 남성이 아파트 외벽에 리모델링을 위해 설치된 대나무 비계(높은 건물 공사를 위해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 위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었습니다.
이 남성은 한 여성이 “또 여기서 담배를 피우느냐”는 물음에 놀라 뒤돌아보는 모습이었습니다.
해당 아파트는 1983년 준공된 노후 건물로, 지난해 7월부터 대규모 보수 공사가 진행돼 왔습니다.
주민들은 공사 기간 동안 노동자들의 흡연 장면을 여러 차례 목격했다고 밝혔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주요 언론은 “불길이 비계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흡연으로 인한 담뱃불 발화 가능성을 주요 원인으로 보도했습니다.
한 주민들은 “창문을 닫아도 비계 쪽에서 담배 냄새가 들어왔다”며 “수리 작업자가 공사 구역에서 흡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홍콩에서 흔히 사용되는 대나무 비계가 화재 확산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중국 본토와 달리 금속 비계 사용이 의무화돼 있지 않아, 가연성이 높은 대나무가 그대로 사용됐다는 지적입니다.
여기에 불량 난연 그물망, 엘리베이터 홀의 스티로폼 자재·가구 등 가연성 물질이 많아 화염이 빠르게 번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콩 소방당국은 브리핑에서 “초기 조사 결과, 대나무 비계와 잡동사니에 붙은 불이 바람을 타고 날아가 화염이 7개 동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른 재난 원인 규명과 부실 공사 여부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출처ㅣX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담뱃불이 대참사 원인이었나...홍콩 화재 전 포착된 장면 [지금이뉴스]](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128/202511280916060005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