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새벽배송 금지 여부를 논의할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3차 회의를 하루 앞두고,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2만5천명을 넘었습니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자신을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한 청원인의 `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이날 오후 1시30분 기준 동의 2만5천100명을 돌파했습니다.
청원인은 "맞벌이 가정에서는 늦은 밤 준비물이나 생필품을 사는 것이 새벽배송 덕분"이라며 "국회·정부가 특정 단체의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다음 달 13일까지 5만명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자동 회부됩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새벽배송은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워킹맘부터 아침마다 식재료를 공수받는 소상공인까지 2천만명 이상의 일상에 자리 잡았다"며 "이제는 지하철이나 버스처럼 생활 인프라가 된 만큼 금지에 대한 반대 여론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편리함의 다른 측면에서 새벽배송은 과로사 논란을 낳았습니다.
택배 노동자들은 "속도보다 생명"을 강조하면서 새벽배송 최소화와 과로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근 새벽배송과 관련한 심야 노동에 대해 "국제암센터가 2급 발암물질로 규정할 정도로 해로운데 (새벽배송이) 이를 감내해야만 할 정도의 서비스인지가 공론화돼야 한다"며 "만약 유지돼야 할 서비스라고 한다면 이를 감내해야 할 노동자들을 어떻게 보호할지, 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플랫폼형 배송은 기존 택배 구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과거 택배 체계만 놓고 논의하면 현장의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택배기사의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자신을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한 청원인의 `새벽배송 금지 반대` 청원은 이날 오후 1시30분 기준 동의 2만5천100명을 돌파했습니다.
청원인은 "맞벌이 가정에서는 늦은 밤 준비물이나 생필품을 사는 것이 새벽배송 덕분"이라며 "국회·정부가 특정 단체의 주장만 듣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다음 달 13일까지 5만명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자동 회부됩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새벽배송은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워킹맘부터 아침마다 식재료를 공수받는 소상공인까지 2천만명 이상의 일상에 자리 잡았다"며 "이제는 지하철이나 버스처럼 생활 인프라가 된 만큼 금지에 대한 반대 여론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편리함의 다른 측면에서 새벽배송은 과로사 논란을 낳았습니다.
택배 노동자들은 "속도보다 생명"을 강조하면서 새벽배송 최소화와 과로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근 새벽배송과 관련한 심야 노동에 대해 "국제암센터가 2급 발암물질로 규정할 정도로 해로운데 (새벽배송이) 이를 감내해야만 할 정도의 서비스인지가 공론화돼야 한다"며 "만약 유지돼야 할 서비스라고 한다면 이를 감내해야 할 노동자들을 어떻게 보호할지, 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플랫폼형 배송은 기존 택배 구조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며 "과거 택배 체계만 놓고 논의하면 현장의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서비스를 유지하면서도 택배기사의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