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타이완과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서 반도체와 다른 첨단 산업의 대미 신규 투자와 미국 근로자들의 훈련을 협상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5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26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일본에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대신 각각 3천500억달러(약 510조원), 5천500억달러(약 8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얻어낸 것과 마찬가지로 타이완에도 대미 투자를 요구한 것인데 미국 근로자 훈련이 포함된 점이 눈길을 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습니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타이완의 대미 투자 규모는 아시아 주요 경쟁국들보다 작을 것이며, 여기에는 미국이 타이완의 노하우를 활용해 미국에 사이언스 파크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타이완의 지원이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타이완은 반도체 클러스터인 사이언스 파크를 구축해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발전시켜왔습니다.
다만 관계자들에 따르면 협상이 최종 마무리되기까지 모든 조건이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줘룽타이 타이완 행정원장(총리 격)은 26일 타이베이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 관세 협상에 대해 세부 사항 확정을 위해 문서를 교환하는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그는 "다른 국가들이 이런 종류의 일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타이완만이 서비스 파크의 개념, 운영 경험, 성과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런 이니셔티브를 미국에서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타이완 TSMC의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월 숙련공 부족과 공급망 공백으로 인해 미국 애리조나 신규 공장 건설이 타이완에서보다 최소 두 배 오래 걸리고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일본에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대신 각각 3천500억달러(약 510조원), 5천500억달러(약 8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얻어낸 것과 마찬가지로 타이완에도 대미 투자를 요구한 것인데 미국 근로자 훈련이 포함된 점이 눈길을 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습니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타이완의 대미 투자 규모는 아시아 주요 경쟁국들보다 작을 것이며, 여기에는 미국이 타이완의 노하우를 활용해 미국에 사이언스 파크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타이완의 지원이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타이완은 반도체 클러스터인 사이언스 파크를 구축해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발전시켜왔습니다.
다만 관계자들에 따르면 협상이 최종 마무리되기까지 모든 조건이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줘룽타이 타이완 행정원장(총리 격)은 26일 타이베이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과 관세 협상에 대해 세부 사항 확정을 위해 문서를 교환하는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그는 "다른 국가들이 이런 종류의 일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타이완만이 서비스 파크의 개념, 운영 경험, 성과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런 이니셔티브를 미국에서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타이완 TSMC의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월 숙련공 부족과 공급망 공백으로 인해 미국 애리조나 신규 공장 건설이 타이완에서보다 최소 두 배 오래 걸리고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오디오ㅣAI앵커
제작ㅣ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일본처럼...트럼프 정부, 타이완에 새로운 제안 [지금이뉴스]](https://image.ytn.co.kr/general/jpg/2025/1127/202511271427120544_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