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질식 사고가 났던 제주하수처리장 공사 현장입니다.
사고 장소인 지하 1층으로 연결된 계단이 밧줄로 묶여 있고 현장 출입은 통제됐습니다.
사고 당시 현장에선 기준치의 4배가 넘는 황화수소가 검출됐고 작업자 4명이 질식돼 이송됐습니다.
[김경남 제주소방안전본부 119특수구조대장 : 근로자가 하루 15분 동안 노출됐을 때 허용 농도가 약 15ppm입니다. 어제(3일) 같은 경우에는 유출 당시 농도가 45ppm 정도가 나왔기 때문에 어쩌면 더욱 높은 농도로 유출됐을 수 있고요.]
작업자들은 하수 배출수 여과 처리 상태를 점검하는 도중 사고를 당했습니다.
점검구를 여는 과정에서 고농도의 황화수소 가스가 새어 나온 겁니다.
사고 장소인 지하 1층은 환풍기 같은 공기 순환 장치가 갖춰진 곳으로 밀폐시설도 아니었습니다.
더구나 작업자들은 하수 관련 전문 종사자였고 평소 점검에서도 가스 누출은 없었던 터라 이번 사고가 어떤 이유로 발생했는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제주하수처리장 시운전 과정에서 매우 이례적으로 유해가스가 누출된 사고와 관련해 당국이 원인 조사에 나섰습니다.
현장 조사 결과 점검구 수조 안에는 한 달 전부터 여과 시운전을 위해 다량의 물이 들어있었습니다.
최근 폭염과 집중호우로 수조 안에서 부패가 가속화되면서 평소에 검출되지 않던 기준치 이상의 황화수소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차준호 / 한국환경공단 주감독 : 황화수소가 나올 수 있는 공간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모든 하수가 처리되고 마지막에 방류되는 공간이다 보니까 처리수가 고여있는 과정에서 황화수소가 나왔던 것 같습니다. 그 공간은 근로자들이 수시로 채수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공간인데 이번 경우는 좀 이례적인 상황인 것 같습니다.]
하수처리장 시운전 과정에서 이 같은 가스 누출 사고는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사 발주처인 환경공단과 제주도는 사고 원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공사 측과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용원입니다.
영상기자ㅣ박병준
화면제공ㅣ제주소방안전본부
자막뉴스ㅣ박해진 고현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고 장소인 지하 1층으로 연결된 계단이 밧줄로 묶여 있고 현장 출입은 통제됐습니다.
사고 당시 현장에선 기준치의 4배가 넘는 황화수소가 검출됐고 작업자 4명이 질식돼 이송됐습니다.
[김경남 제주소방안전본부 119특수구조대장 : 근로자가 하루 15분 동안 노출됐을 때 허용 농도가 약 15ppm입니다. 어제(3일) 같은 경우에는 유출 당시 농도가 45ppm 정도가 나왔기 때문에 어쩌면 더욱 높은 농도로 유출됐을 수 있고요.]
작업자들은 하수 배출수 여과 처리 상태를 점검하는 도중 사고를 당했습니다.
점검구를 여는 과정에서 고농도의 황화수소 가스가 새어 나온 겁니다.
사고 장소인 지하 1층은 환풍기 같은 공기 순환 장치가 갖춰진 곳으로 밀폐시설도 아니었습니다.
더구나 작업자들은 하수 관련 전문 종사자였고 평소 점검에서도 가스 누출은 없었던 터라 이번 사고가 어떤 이유로 발생했는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제주하수처리장 시운전 과정에서 매우 이례적으로 유해가스가 누출된 사고와 관련해 당국이 원인 조사에 나섰습니다.
현장 조사 결과 점검구 수조 안에는 한 달 전부터 여과 시운전을 위해 다량의 물이 들어있었습니다.
최근 폭염과 집중호우로 수조 안에서 부패가 가속화되면서 평소에 검출되지 않던 기준치 이상의 황화수소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차준호 / 한국환경공단 주감독 : 황화수소가 나올 수 있는 공간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모든 하수가 처리되고 마지막에 방류되는 공간이다 보니까 처리수가 고여있는 과정에서 황화수소가 나왔던 것 같습니다. 그 공간은 근로자들이 수시로 채수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공간인데 이번 경우는 좀 이례적인 상황인 것 같습니다.]
하수처리장 시운전 과정에서 이 같은 가스 누출 사고는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사 발주처인 환경공단과 제주도는 사고 원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공사 측과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용원입니다.
영상기자ㅣ박병준
화면제공ㅣ제주소방안전본부
자막뉴스ㅣ박해진 고현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