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대통령실은 24일 유튜브 기반 매체인 ‘김어준의 뉴스공장’, ‘고발뉴스’, ‘취재편의점’ 등 3곳을 대통령실 출입 기자단에 포함시켰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매체는 친여 성향 지지자들이 주로 시청하는 유튜브 기반 언론으로, 여권 내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에게 비교적 호의적인 방송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출입 기자단 간사를 통해 해당 매체들을 정규 기자단에 등록했다고 통보했으며, 각 매체 소속 기자 3명을 대통령 일정과 메시지를 사전 공지하는 기자단 단체 대화방에도 포함시켰습니다.
대통령실 보도지원비서관실은 “지난 정부에서 자의적으로 배제된 한국인터넷기자협회를 복권시키며, 여기에 포함된 매체 중 등록 요건을 충족하고 출입 등록을 신청한 3사를 등록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중앙정부 기관에 신규 매체가 출입 기자로 등록될 경우 통상 출입 기자단과 사전 협의를 거치는 절차를 따르지만, 이번에는 대통령실이 기자단에 사전 논의 없이 일방적으로 통보한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취재 문호 확대 차원이었다면 신청 공고를 내야 했지만, 그런 절차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이 특정 매체를 선별해 포함시켰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실 운영 기준에 따라 결정된 사안”이라고 밝혔으나, 논란이 커지자 출입 기자단 간사단과 협의해 여론 수렴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1인 미디어 가운데 책임성 있는 언론에는 당연히 같은 취재 기회를 줘야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정치권 관계자는 “출입 기자단 등록 기준을 완화하려면 야권 성향 유튜브에도 문턱을 낮추는 것이 형평에 맞다”며 “언론의 감시와 견제보다는 듣기 좋은 소리를 하는 매체를 우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들 매체는 친여 성향 지지자들이 주로 시청하는 유튜브 기반 언론으로, 여권 내에서도 이재명 대통령에게 비교적 호의적인 방송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출입 기자단 간사를 통해 해당 매체들을 정규 기자단에 등록했다고 통보했으며, 각 매체 소속 기자 3명을 대통령 일정과 메시지를 사전 공지하는 기자단 단체 대화방에도 포함시켰습니다.
대통령실 보도지원비서관실은 “지난 정부에서 자의적으로 배제된 한국인터넷기자협회를 복권시키며, 여기에 포함된 매체 중 등록 요건을 충족하고 출입 등록을 신청한 3사를 등록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중앙정부 기관에 신규 매체가 출입 기자로 등록될 경우 통상 출입 기자단과 사전 협의를 거치는 절차를 따르지만, 이번에는 대통령실이 기자단에 사전 논의 없이 일방적으로 통보한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취재 문호 확대 차원이었다면 신청 공고를 내야 했지만, 그런 절차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이 특정 매체를 선별해 포함시켰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실 운영 기준에 따라 결정된 사안”이라고 밝혔으나, 논란이 커지자 출입 기자단 간사단과 협의해 여론 수렴 절차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1인 미디어 가운데 책임성 있는 언론에는 당연히 같은 취재 기회를 줘야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정치권 관계자는 “출입 기자단 등록 기준을 완화하려면 야권 성향 유튜브에도 문턱을 낮추는 것이 형평에 맞다”며 “언론의 감시와 견제보다는 듣기 좋은 소리를 하는 매체를 우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