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주한미군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남북을 180도 뒤집은 형태의 동아시아 지도를 제작해 내부 교육과 외부 설명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SBS가 단독으로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일반적인 지도와 달리, 이 지도에서는 타이완과 필리핀이 오른쪽 위에 배치돼 시각적으로 더 두드러진다는 평가입니다.
올해 주한미군이 만든 이 지도는 사령부가 위치한 캠프 험프리스를 기준점으로 삼아, 타이완 타이베이와 필리핀 마닐라까지의 거리를 마일과 킬로미터 단위로 각각 표시했습니다.
주한미군은 해당 지도를 외부 안보 전문가들에게도 공개하며, 한반도를 넘어선 역할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신경수 한미동맹재단 사무총장은 “주한미군 측이 지도를 보여주며 가까운 미래에 전략적 유연성을 바탕으로 한 역할 확대를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략적 유연성은 주한미군이 타이완 등 한반도 밖의 분쟁에도 개입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은 지난달 회견에서 “지도를 보지 않으면 왜 전략적 유연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며, 주한미군이 한반도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르면 다음 달, 한국 언론인을 대상으로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를 공개하며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대해 직접 설명할 계획입니다.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사진출처ㅣSBS뉴스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SBS가 단독으로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일반적인 지도와 달리, 이 지도에서는 타이완과 필리핀이 오른쪽 위에 배치돼 시각적으로 더 두드러진다는 평가입니다.
올해 주한미군이 만든 이 지도는 사령부가 위치한 캠프 험프리스를 기준점으로 삼아, 타이완 타이베이와 필리핀 마닐라까지의 거리를 마일과 킬로미터 단위로 각각 표시했습니다.
주한미군은 해당 지도를 외부 안보 전문가들에게도 공개하며, 한반도를 넘어선 역할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신경수 한미동맹재단 사무총장은 “주한미군 측이 지도를 보여주며 가까운 미래에 전략적 유연성을 바탕으로 한 역할 확대를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략적 유연성은 주한미군이 타이완 등 한반도 밖의 분쟁에도 개입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은 지난달 회견에서 “지도를 보지 않으면 왜 전략적 유연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며, 주한미군이 한반도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르면 다음 달, 한국 언론인을 대상으로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를 공개하며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대해 직접 설명할 계획입니다.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사진출처ㅣSBS뉴스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