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타이완 '비상사태' 연루될 수도"...美 전문가의 전망 [지금이뉴스]

"한국, 타이완 '비상사태' 연루될 수도"...美 전문가의 전망 [지금이뉴스]

2025.05.16. 오후 4:0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중국이 타이완을 공격할 경우, 한국이 연루될 수 있는 만큼 한국은 중국이 타이완 해협에서 무력 충돌을 일으키지 않도록 외교적 설득을 해야 한다고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가 제언했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인 한미 경제 연구소(KEI) 앨런 김 국장은 "한국이 타이완 비상사태와 같은 상황 발생 시 연루되는 것을 피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어 "한국은 그런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해야 한다"며 "중국에 타이완 해협에서 분쟁을 일으키지 않도록 외교적 설득을 시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한국은 타이완 비상사태 발생 시 개입을 피하는 방안을 생각하기보다는 '타이완 분쟁은 중국에 좋지 않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문제를 봐도 알 수 있듯, 유럽에서 일어난 일이 인도·태평양 지역에도 영향을 주는데 한국은 전략적,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김 국장은 "타이완 문제를 현지의 이슈(local issue)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더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타이완 비상사태 발생 시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또 "한국은 타이완 문제에 연루되고 싶어 하지 않지만, 주한미군이 타이완 지원에 나서면 중국 입장에서는 위협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주한미군이 중국을 공격할 것이라고 중국이 생각한다면 한국은 자동으로 분쟁에 연루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정보기관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군에 오는 2027년까지 타이완 공격 준비를 완료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새뮤얼 퍼파로 미국 인도 태평양 사령관(해군 대장)은 지난 2일 열린 포럼에서 "2027년은 침공 일정이 아니라 준비 완료 목표 시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군이 로켓 전력과 감시 정찰을 위한 위성 체계 등 일부 목표는 이미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자ㅣ이승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