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에 덩달아 얻어맞은 인도...성장산업 '치명타' [지금이뉴스]

中에 덩달아 얻어맞은 인도...성장산업 '치명타' [지금이뉴스]

2025.05.12. 오후 7:3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지난달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맞서 첨단기술에 필수인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면서 전기차 산업이 한창 성장 중인 인도에도 상당한 여파가 미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조치로 희토류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고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인도가 빠른 대응을 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12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 맞서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국에서 생산되는 희토류 수출도 통제했습니다.

통제 대상에는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등 중희토류를 비롯해 희토류 자석 등도 포함됐습니다.

이들 품목을 중국 밖으로 반출하려면 중국 정부의 특별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희토류는 방위산업은 물론 첨단 기술 분야와 친환경 산업에 필요한 광물 원자재입니다.

주로 전기차 모터, 스마트폰, 군사용 반도체 등에 사용됩니다.

중국은 전 세계 중희토류 공급량의 99%를 생산하며 희토류 자석도 중국이 90%를 만듭니다.

희토류 공급자로서 세계 시장에서 가진 독점적 지위를 이용하려는 중국의 1차 목표는 미국이지만, 전기차 산업이 급성장 중인 인도도 덩달아 악영향을 받게 됐습니다.

중국의 수출 통제는 공급망 차질과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이제 막 성장 단계에 접어든 인도의 전기차 산업에도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SCMP는 보도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인도에서는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6%에 불과한 수준이긴 하지만 190만대가 넘는 전기차가 판매됐습니다.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0%까지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보조금 제도 정비와 전기차 인프라 확대에 나선 상태입니다.

전문가들도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가 특별히 인도를 겨냥한 것은 아니지만, 신속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는 희토류 매장량을 활용할 기술과 시설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도는 약 690만t의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하고도 추출 기술과 가공 능력이 부족해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반면 중국은 첨단 정제 시설과 효율적인 공급망을 갖고 있습니다.

인도의 거의 모든 전기차 부품은 중국산으로 지난해에만 중국에서 70억 달러(약 9조8천억원) 상당의 전기차 배터리와 자석을 수입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SCMP는 지금 인도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전기차 야망`이 멈출지 아니면 속도를 더 낼지 결정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