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최근 대학생들의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챗GPT로 온라인 강의에서 100점 맞는 비법을 공유한다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강의 영상 속 PPT를 캡처해 챗GPT에게 보여주면 된다', '핵심만 A4 1장 분량으로 요약해달라 해 내면 100점'이라는 것입니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수도권 한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A 교수는 요즘 필기하는 학생을 본 일이 없다고 했습니다.
"다 휴대전화로 '찰칵, 찰칵'하며 PPT와 칠판을 찍어간다. 그걸 챗GPT에게 정리해달라 하면 필기 노트가 되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대중화된 2025년 1학기. 캠퍼스 풍경은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지고 있습니다.
챗GPT에게 영어 논문을 번역해달라거나 자료 검색을 부탁하는 건 이미 구문이고, 리포트 대필 역시 기본이 됐습니다.
서울 한 사립대 공대 B 교수는 "'다른 방식으로 써줄까'라는 챗GPT의 마지막 말까지 그대로 '복붙'하는 학생도 있다"며 "챗GPT를 쓸 거라고 생각은 했지만, 너무 당당하게 손도 안 대는 느낌"이라고 하소연했습니다.
발표 PPT 역시 모두 챗GPT가 만들어줍니다.
"PPT는 자신 있다"던 복학생들의 푸념이 나올 정도입니다.
작사는 물론, 작곡까지 AI에게 맡긴 음대생이 감점받은 사례도 교수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습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AI를 안 쓰면 뒤처진다’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있으며, 챗GPT를 활용해 과제를 빠르게 끝내는 방법이나 들키지 않는 팁을 공유하는 영상이 유튜브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일부 교수는 AI 사용을 금지하고 탐지 프로그램을 도입했지만, 생성형 AI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한계도 드러납니다.
반면 챗GPT를 아예 수업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한 국립대 교수는 “실무 현장에서는 AI를 잘 쓰는 학생을 원한다”며, “결국 AI도 도구일 뿐, 활용 능력이 실력을 가른다”고 말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강의 영상 속 PPT를 캡처해 챗GPT에게 보여주면 된다', '핵심만 A4 1장 분량으로 요약해달라 해 내면 100점'이라는 것입니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수도권 한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A 교수는 요즘 필기하는 학생을 본 일이 없다고 했습니다.
"다 휴대전화로 '찰칵, 찰칵'하며 PPT와 칠판을 찍어간다. 그걸 챗GPT에게 정리해달라 하면 필기 노트가 되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대중화된 2025년 1학기. 캠퍼스 풍경은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지고 있습니다.
챗GPT에게 영어 논문을 번역해달라거나 자료 검색을 부탁하는 건 이미 구문이고, 리포트 대필 역시 기본이 됐습니다.
서울 한 사립대 공대 B 교수는 "'다른 방식으로 써줄까'라는 챗GPT의 마지막 말까지 그대로 '복붙'하는 학생도 있다"며 "챗GPT를 쓸 거라고 생각은 했지만, 너무 당당하게 손도 안 대는 느낌"이라고 하소연했습니다.
발표 PPT 역시 모두 챗GPT가 만들어줍니다.
"PPT는 자신 있다"던 복학생들의 푸념이 나올 정도입니다.
작사는 물론, 작곡까지 AI에게 맡긴 음대생이 감점받은 사례도 교수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습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AI를 안 쓰면 뒤처진다’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있으며, 챗GPT를 활용해 과제를 빠르게 끝내는 방법이나 들키지 않는 팁을 공유하는 영상이 유튜브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일부 교수는 AI 사용을 금지하고 탐지 프로그램을 도입했지만, 생성형 AI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한계도 드러납니다.
반면 챗GPT를 아예 수업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한 국립대 교수는 “실무 현장에서는 AI를 잘 쓰는 학생을 원한다”며, “결국 AI도 도구일 뿐, 활용 능력이 실력을 가른다”고 말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