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덴마크가 미국 정보기관들이 그린란드에 대한 첩보 활동 강화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덴마크 주재 미국 대사를 초치할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장관은 이날 폴란드에서 비공식적으로 열린 유럽연합(EU)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해 기자들에게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를 읽었는데 우리는 친구를 감시하지 않기 때문에 크게 우려스러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다소 충격적인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외무부로 미국 대사 직무대행을 불러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WSJ은 전날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고 공언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정보기관들에 관련 활동 강화를 지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보기관들은 덴마크의 자치령인 그린란드의 독립 추진 동향과 미국의 현지 자원 채취에 대한 주민들의 태도 등을 파악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WSJ은 전했습니다.
WSJ 보도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직접적인 논평은 없는 상태지만, 제임스 휴잇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대통령은 그린란드와 북극의 안보를 걱정한다는 뜻을 분명히 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였던 2019년 그린란드 매입을 주장했고, 재선에 성공한 직후부터 다시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욕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왔습니다.
최근에는 `그린란드 무력 점령`을 배제하느냐는 질문에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장관은 이날 폴란드에서 비공식적으로 열린 유럽연합(EU) 외무장관 회의에 참석해 기자들에게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사를 읽었는데 우리는 친구를 감시하지 않기 때문에 크게 우려스러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다소 충격적인 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외무부로 미국 대사 직무대행을 불러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WSJ은 전날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고 공언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정보기관들에 관련 활동 강화를 지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보기관들은 덴마크의 자치령인 그린란드의 독립 추진 동향과 미국의 현지 자원 채취에 대한 주민들의 태도 등을 파악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WSJ은 전했습니다.
WSJ 보도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직접적인 논평은 없는 상태지만, 제임스 휴잇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대통령은 그린란드와 북극의 안보를 걱정한다는 뜻을 분명히 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였던 2019년 그린란드 매입을 주장했고, 재선에 성공한 직후부터 다시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욕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왔습니다.
최근에는 `그린란드 무력 점령`을 배제하느냐는 질문에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