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사이 게시판에 새로운 대자보가 하나 붙었습니다.
'노동시간 연장 정책은 선택권 확장이 아닌 생명권 침해'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장기간 연차를 쓰기 어려운 현실에서 지금보다 근로시간이 늘어나면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만 해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이른바 'MZ세대'가 유연한 근무를 선호한다는 정부 주장은 'MZ 세대'는 물론, 전 사회적으로도 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고 지적합니다.
실제 청년들의 생각은 어떨까?
취재진이 만난 학생들 대체로 노동시간이 늘어난 만큼 '몰아 쉬기'를 하면 된다는 정부 구상엔 회의적입니다.
[최시우 / 서울대학교 1학년 : 일을 몰아서 하고, 휴식을 몰아서 한다는 게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는 느낌인 것 같은데, 업무 특성상 불가능한 곳도 있겠고….]
노동시간 유연화는 사실상 근무시간을 늘리기 위한 '눈 가리고 아웅'식의 조치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최은율 / 서울대학교 1학년 : 주 69시간으로 늘리는 건 유연화가 아니라, 초과근무 쪽으로 기대는 방향이지 않을까….]
정부 정책을 발표하면서 자꾸만 'MZ 세대'를 들먹이는 것에도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김소안 / 서울대학교 1학년 : (MZ 세대를) 굳이 앞에 끼워 넣어서 이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고 포장하는 말인 것 같아서 공감하기 어렵습니다.]
시민단체가 직장인 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은 지난해 연차를 6일도 쓰지 못했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20대는 절반이 넘는 55%가 연차를 6일 미만으로 썼다고 답했습니다.
있는 연차도 제대로 못 쓰는 마당에 정부 안대로 하면 일하는 시간만 늘어난다는 인식이 강하게 퍼지면서 현 정부도 개편안 재검토 방안을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YTN 황보혜경입니다.
촬영기자 : 김현미
그래픽 : 이지희
자막뉴스 : 이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막뉴스
기사목록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