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강원도 양양에 있는 야산에서 난 산불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산림 당국은 오늘 새벽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는데요.
현장 연결합니다. 지 환 기자!
[기자]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입니다.
[앵커]
현장 상황 알려주시죠.
[기자]
아직 불길을 완전히 잡지 못했습니다.
저희가 있는 곳이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있는 방태산 근처인데요.
불이 난 건 어제 오후 6시 20분쯤입니다.
어두워지면서 헬기가 뜨지 못했고, 건조한 날씨 속에 바람을 타고 불이 커졌습니다.
공중진화대 등 지상 인력이 밤새 진화 작업을 벌였지만, 현장에 워낙 급경사지가 많아 애를 먹었습니다.
어제 자정 기준 4ha 수준이었던 산불 영향 구역은 현재 20ha로 번졌고요.
불띠, 화선은 2.25km 정도인데, 현장에서는 진화율을 약 70~8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밤새 불이 이어지며 당국은 인근 주민 600여 명과 펜션 투숙객들에게 사전대피령을 내리기도 했는데요.
다행히 민가로 산불이 확산할 우려는 적고 마을 회관으로 대피했던 주민 2명도 귀가한 상태입니다.
당국은 오늘 아침 동이 트면서부터 헬기 25대를 투입했는데요.
안개가 다소 짙지만, 오늘 오전 중으로는 주불을 잡는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최근 강원 지역 확산한 산불, 모두 해가 질 때쯤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지난 목요일이죠.
바로 옆 강원도 인제에서 난 산불과 이곳 양양 산불 모두 당국이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한 산불인데요.
공통점이 있습니다.
모두 저녁 5시 반에서 6시 반 사이에 났습니다.
이게 좀 문제인데요.
어두워질 무렵 불이 시작돼 헬기를 투입할 수 없습니다.
불 자체는 크지 않고, 바람도 3, 4, 5월보다는 강하지 않은데 초기 진화를 못 하는 건데요.
그러다 보니 지상 인력을 투입해서 밤새 더 확산하는 걸 막는 데 주력할 수밖에 없습니다.
밤새 불이 계속되며 피해를 키우다 아침에 헬기를 떠야 진화가 가능한 상황이 반복되는 건데요.
현장 상황이나, 고압선 등이 많아서 야간에 운용할 수 있는 헬기를 투입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현재 강원 산간, 동해안에 건조한 날씨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래 11월엔 대형 산불 가능성이 적다고 하는데요.
최근 산불 상황을 보면 위험은 늘 있는 것 같습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양양 산불 현장에서 YTN 지환입니다.
영상기자 : 성도현
화면제공: 산림청, 강원소방본부
YTN 지환 (haj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강원도 양양에 있는 야산에서 난 산불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산림 당국은 오늘 새벽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는데요.
현장 연결합니다. 지 환 기자!
[기자]
강원도 양양 산불 현장입니다.
[앵커]
현장 상황 알려주시죠.
[기자]
아직 불길을 완전히 잡지 못했습니다.
저희가 있는 곳이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있는 방태산 근처인데요.
불이 난 건 어제 오후 6시 20분쯤입니다.
어두워지면서 헬기가 뜨지 못했고, 건조한 날씨 속에 바람을 타고 불이 커졌습니다.
공중진화대 등 지상 인력이 밤새 진화 작업을 벌였지만, 현장에 워낙 급경사지가 많아 애를 먹었습니다.
어제 자정 기준 4ha 수준이었던 산불 영향 구역은 현재 20ha로 번졌고요.
불띠, 화선은 2.25km 정도인데, 현장에서는 진화율을 약 70~8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밤새 불이 이어지며 당국은 인근 주민 600여 명과 펜션 투숙객들에게 사전대피령을 내리기도 했는데요.
다행히 민가로 산불이 확산할 우려는 적고 마을 회관으로 대피했던 주민 2명도 귀가한 상태입니다.
당국은 오늘 아침 동이 트면서부터 헬기 25대를 투입했는데요.
안개가 다소 짙지만, 오늘 오전 중으로는 주불을 잡는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최근 강원 지역 확산한 산불, 모두 해가 질 때쯤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지난 목요일이죠.
바로 옆 강원도 인제에서 난 산불과 이곳 양양 산불 모두 당국이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한 산불인데요.
공통점이 있습니다.
모두 저녁 5시 반에서 6시 반 사이에 났습니다.
이게 좀 문제인데요.
어두워질 무렵 불이 시작돼 헬기를 투입할 수 없습니다.
불 자체는 크지 않고, 바람도 3, 4, 5월보다는 강하지 않은데 초기 진화를 못 하는 건데요.
그러다 보니 지상 인력을 투입해서 밤새 더 확산하는 걸 막는 데 주력할 수밖에 없습니다.
밤새 불이 계속되며 피해를 키우다 아침에 헬기를 떠야 진화가 가능한 상황이 반복되는 건데요.
현장 상황이나, 고압선 등이 많아서 야간에 운용할 수 있는 헬기를 투입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현재 강원 산간, 동해안에 건조한 날씨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래 11월엔 대형 산불 가능성이 적다고 하는데요.
최근 산불 상황을 보면 위험은 늘 있는 것 같습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양양 산불 현장에서 YTN 지환입니다.
영상기자 : 성도현
화면제공: 산림청, 강원소방본부
YTN 지환 (haj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