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여름 못지않은 이상 고온과 폭우가 10월 내내 이어지면서, 전국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주 브로콜리밭에 병해가 덮쳤습니다.
예측 불가능한 기후위기가 현실화되자, 농가들은 한 해 농사를 망칠 위기에 놓였다며 깊은 시름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KCTV 제주방송 김지우 기자입니다.
[기자]
2천6백여 제곱미터 규모의 브로콜리밭.
한창 열매가 자라야 할 시기인데 파릇파릇해야 할 잎은 노랗게 변색돼 메말라 있습니다.
심한 곳은 잎 전체가 누렇게 변해 힘없이 쓰러져 있습니다.
최근 잦은 비바람에 생긴 상처에 세균이 침투하면서 검은썩음병이 발생한 겁니다.
이곳에 심어진 브로콜리 가운데 50%가량이 이처럼 병해 피해로 상품성을 잃었습니다.
서부농업기술센터가 최근 한림지역 32개 브로콜리 농가를 조사한 결과 70%에서 검은무늬병과 검은썩음병 등 병해 증상이 확인됐습니다.
병해충이 번식하기 쉬운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진 탓입니다.
지난달 평균 기온은 26.9도로 평년보다 3.4도 높았고, 강수일수는 20일로 두 배 수준이었습니다.
지난 11일 평균기온 역시 지난해보다 3.9도 높았으며 강수량도 16.1㎜ 많았습니다.
문제는 당분간 평년을 웃도는 기온과 비 예보가 이어지면서 병해충이 추가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농가들은 한해 농사를 망칠 위기에 놓였다며, 이상기후에 대한 대응이 쉽지 않다고 토로합니다.
[이춘희 / 브로콜리 농가 : 한꺼번에 비가 폭우 식으로 왔다가 비가 안 오니까 햇빛이 팍 나니깐 이 어린 게 살 수가 있겠어요. 갈아엎어야죠. 뭘 어떻게 합니까, 보리라도 갈아야 될 것 아닙니까.]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월동채소 주산지인 애월과 한림을 중심으로 예년보다 2주 빠르게 피해가 확인되고 있다면서 적극적인 방제를 당부했습니다.
[오승진 / 서부농업기술센터 특화작목육성팀장 : 일찍 심은 건 검은무늬병, 검은썩음병이 같이 나오고 9월 하순 정도에 늦게 심은 것들은 검은무늬병이 나오는 포전들이 있습니다. 이걸 지금 막지 못해 번지게 될 경우는 수확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서.]
극한 호우와 이상 고온 등 기후위기가 일상이 되면서 1차 산업의 피해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KCTV 뉴스 김지우입니다.
YTN 김지우 kctv (kimmj02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여름 못지않은 이상 고온과 폭우가 10월 내내 이어지면서, 전국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주 브로콜리밭에 병해가 덮쳤습니다.
예측 불가능한 기후위기가 현실화되자, 농가들은 한 해 농사를 망칠 위기에 놓였다며 깊은 시름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KCTV 제주방송 김지우 기자입니다.
[기자]
2천6백여 제곱미터 규모의 브로콜리밭.
한창 열매가 자라야 할 시기인데 파릇파릇해야 할 잎은 노랗게 변색돼 메말라 있습니다.
심한 곳은 잎 전체가 누렇게 변해 힘없이 쓰러져 있습니다.
최근 잦은 비바람에 생긴 상처에 세균이 침투하면서 검은썩음병이 발생한 겁니다.
이곳에 심어진 브로콜리 가운데 50%가량이 이처럼 병해 피해로 상품성을 잃었습니다.
서부농업기술센터가 최근 한림지역 32개 브로콜리 농가를 조사한 결과 70%에서 검은무늬병과 검은썩음병 등 병해 증상이 확인됐습니다.
병해충이 번식하기 쉬운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진 탓입니다.
지난달 평균 기온은 26.9도로 평년보다 3.4도 높았고, 강수일수는 20일로 두 배 수준이었습니다.
지난 11일 평균기온 역시 지난해보다 3.9도 높았으며 강수량도 16.1㎜ 많았습니다.
문제는 당분간 평년을 웃도는 기온과 비 예보가 이어지면서 병해충이 추가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농가들은 한해 농사를 망칠 위기에 놓였다며, 이상기후에 대한 대응이 쉽지 않다고 토로합니다.
[이춘희 / 브로콜리 농가 : 한꺼번에 비가 폭우 식으로 왔다가 비가 안 오니까 햇빛이 팍 나니깐 이 어린 게 살 수가 있겠어요. 갈아엎어야죠. 뭘 어떻게 합니까, 보리라도 갈아야 될 것 아닙니까.]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월동채소 주산지인 애월과 한림을 중심으로 예년보다 2주 빠르게 피해가 확인되고 있다면서 적극적인 방제를 당부했습니다.
[오승진 / 서부농업기술센터 특화작목육성팀장 : 일찍 심은 건 검은무늬병, 검은썩음병이 같이 나오고 9월 하순 정도에 늦게 심은 것들은 검은무늬병이 나오는 포전들이 있습니다. 이걸 지금 막지 못해 번지게 될 경우는 수확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서.]
극한 호우와 이상 고온 등 기후위기가 일상이 되면서 1차 산업의 피해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KCTV 뉴스 김지우입니다.
YTN 김지우 kctv (kimmj02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