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최근 강원도 교육청을 둘러싼 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교육감이 1심에서 직위 상실형을 선고받은 이후 전교조와의 갈등은 물론 핵심 간부 직원에 대한 수사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홍성욱 기자입니다.
[기자]
뇌물수수 혐의에 대한 유죄 판결로 1심에서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신경호 강원 교육감.
판결 이후 전교조와 사회단체는 신 교육감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들은 교육감이 지난 2년간 고의로 재판을 지연시켜 강원교육을 파행으로 몰고 갔고, 불신만 남겼다고 지적했습니다.
"사퇴하라! 사퇴하라! 사퇴하라!"
사실 전교조와의 갈등에 따른 혼란은 지난해부터 본격화됐습니다.
앞서 강원교육청은 학력고사나 경시대회, 교육감 표창이 경쟁만 부추길 뿐이라며 이를 금지하는 단체협약을 전교조와 맺었는데,
신 교육감은 취임 후 학력 향상을 이유로 이를 파기했습니다.
이후 일선 고등학교를 찾은 신 교육감과 전교조의 물리적 충돌까지 발생했습니다.
전교조의 교육청 청사 출입이 통제됐고, 양측을 비판·옹호하는 현수막과 근조 화환까지 등장했습니다.
[안서헌 / 당시 강원교육청 부대변인 (지난해) : 불안감을 조성하고 시험에 집중할 수 없도록 학생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것이 과연 참교육을 기치로 든 전교조의 철학에 맞는 행동인지 묻고 싶습니다.]
교육청 고위 간부인 정책협력관의 선거 개입 폭로도 있었습니다.
지난 선거 과정에서 공무원들이 정치적 중립의무를 위반해 신 교육감 당선을 위해 일했다며 양심선언 하고 사직 의사까지 밝혔습니다.
[최준호 / 강원교육청 정책협력관 (지난 8월) : 공식 선거운동 기간 중에도 해당 공무원들과 캠프 간 정책자료와 공약 관련 문서가 오가고 일부 공무원들이 후보자에게 직접 정책자료를 전달하였습니다.]
하지만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실수라며 말을 바꿨고, 교육청도 복귀를 허락했습니다.
웃지 못할 촌극에 시민·사회단체가 경찰에 정식 수사를 의뢰했고, 비판 역시 쏟아졌습니다.
[심성은 / 공무원노조 강원본부장 :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인물을 복귀시킨 것은, 한 배를 탄 사람들끼리 서로의 치부를 감추고 감싸며, 불법 선거 개입 의혹을 은폐, 은닉하려는 시도에 불과하다.]
전교조와의 극심한 갈등과 함께 직위 상실형 이후 정치적 부담은 더욱 커진 강원 교육감.
남은 임기 역시 계속된 재판과 고위 간부 수사가 예정된 상황에서 교육 현장의 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YTN 홍성욱입니다.
영상기자: 홍도영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강원도 교육청을 둘러싼 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교육감이 1심에서 직위 상실형을 선고받은 이후 전교조와의 갈등은 물론 핵심 간부 직원에 대한 수사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홍성욱 기자입니다.
[기자]
뇌물수수 혐의에 대한 유죄 판결로 1심에서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신경호 강원 교육감.
판결 이후 전교조와 사회단체는 신 교육감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들은 교육감이 지난 2년간 고의로 재판을 지연시켜 강원교육을 파행으로 몰고 갔고, 불신만 남겼다고 지적했습니다.
"사퇴하라! 사퇴하라! 사퇴하라!"
사실 전교조와의 갈등에 따른 혼란은 지난해부터 본격화됐습니다.
앞서 강원교육청은 학력고사나 경시대회, 교육감 표창이 경쟁만 부추길 뿐이라며 이를 금지하는 단체협약을 전교조와 맺었는데,
신 교육감은 취임 후 학력 향상을 이유로 이를 파기했습니다.
이후 일선 고등학교를 찾은 신 교육감과 전교조의 물리적 충돌까지 발생했습니다.
전교조의 교육청 청사 출입이 통제됐고, 양측을 비판·옹호하는 현수막과 근조 화환까지 등장했습니다.
[안서헌 / 당시 강원교육청 부대변인 (지난해) : 불안감을 조성하고 시험에 집중할 수 없도록 학생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것이 과연 참교육을 기치로 든 전교조의 철학에 맞는 행동인지 묻고 싶습니다.]
교육청 고위 간부인 정책협력관의 선거 개입 폭로도 있었습니다.
지난 선거 과정에서 공무원들이 정치적 중립의무를 위반해 신 교육감 당선을 위해 일했다며 양심선언 하고 사직 의사까지 밝혔습니다.
[최준호 / 강원교육청 정책협력관 (지난 8월) : 공식 선거운동 기간 중에도 해당 공무원들과 캠프 간 정책자료와 공약 관련 문서가 오가고 일부 공무원들이 후보자에게 직접 정책자료를 전달하였습니다.]
하지만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실수라며 말을 바꿨고, 교육청도 복귀를 허락했습니다.
웃지 못할 촌극에 시민·사회단체가 경찰에 정식 수사를 의뢰했고, 비판 역시 쏟아졌습니다.
[심성은 / 공무원노조 강원본부장 :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인물을 복귀시킨 것은, 한 배를 탄 사람들끼리 서로의 치부를 감추고 감싸며, 불법 선거 개입 의혹을 은폐, 은닉하려는 시도에 불과하다.]
전교조와의 극심한 갈등과 함께 직위 상실형 이후 정치적 부담은 더욱 커진 강원 교육감.
남은 임기 역시 계속된 재판과 고위 간부 수사가 예정된 상황에서 교육 현장의 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YTN 홍성욱입니다.
영상기자: 홍도영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