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인공지능이 농업 기술에 접목되면서 제주 감귤 산업이 한 단계 더 진화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감귤 사진을 찍기만 하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열매 수를 세고 생산량까지 예측한다고 합니다.
보도에 KCTV 제주방송 김지우 기자입니다.
[기자]
감귤농가에서 나무 한 그루를 정해 스마트폰으로 구석구석을 촬영합니다.
촬영한 사진을 플랫폼에 올리자 약 40분 만에 3D 모델이 생성됩니다.
곧바로 AI가 분석을 시작하고 열매 수와 크기 등이 자동으로 산출됩니다.
AI와 3D 입체모델링을 활용한 감귤 생산 예측모델입니다.
그동안 감귤 생산량 예측은 사람에 의존해 왔습니다.
매년 5월과 8월, 11월 세 차례에 걸쳐 320개 표본 감귤원을 방문해 생산량과 등급별 품질을 추정했습니다.
사람이 일일이 관측하다 보니 오류가 발생하고 여름철에는 무더위로 인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따랐습니다.
또한, 계측 오류를 발견하더라도 생육단계가 지나면 사실상 재측정이 불가능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농업 통합 플랫폼 '제주DA' 내에 AI 기반 감귤 생산량 예측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김태우 / 제주도 농업기술원 농업디지털센터장 : 감귤 열매라고 하는 것이 계속 생육이 발달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 시기를 놓치면 다시 계측할 수가 없습니다. 3D 모델링화해서 이미지를 만들어놓으면 오차나 오류 부분이 있다고 하면 다시 계측해볼 수도 있고….]
해당 모델은 지난 10년간 축적된 감귤 관측조사 데이터와 기상청 정보, 위성 기반 식생지수를 결합한 기계학습 방식으로 구현됐습니다.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8종의 예측모델을 적용해 비교·검증했으며, 꽃과 잎의 비율, 열매 수, 크기 등 감귤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반영했습니다.
이로 인해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가능해졌습니다.
[김태우 / 제주도 농업기술원 농업디지털센터장 : (AI 생산량 예측이) 오차가 아예 없이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을 겁니다. 그래서 사람이 계측하는 부분과 모델링화해서 AI로 분석하는 부분을 당분간 병행해나갈 겁니다. 그래서 신뢰도 부분을 높여서….]
AI 도입으로 보다 정확한 감귤 생산량 예측이 가능해지면서 시장 안정과 정책 마련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KCTV 뉴스 김지우입니다.
YTN 김지우 kctv (kimmj02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인공지능이 농업 기술에 접목되면서 제주 감귤 산업이 한 단계 더 진화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감귤 사진을 찍기만 하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열매 수를 세고 생산량까지 예측한다고 합니다.
보도에 KCTV 제주방송 김지우 기자입니다.
[기자]
감귤농가에서 나무 한 그루를 정해 스마트폰으로 구석구석을 촬영합니다.
촬영한 사진을 플랫폼에 올리자 약 40분 만에 3D 모델이 생성됩니다.
곧바로 AI가 분석을 시작하고 열매 수와 크기 등이 자동으로 산출됩니다.
AI와 3D 입체모델링을 활용한 감귤 생산 예측모델입니다.
그동안 감귤 생산량 예측은 사람에 의존해 왔습니다.
매년 5월과 8월, 11월 세 차례에 걸쳐 320개 표본 감귤원을 방문해 생산량과 등급별 품질을 추정했습니다.
사람이 일일이 관측하다 보니 오류가 발생하고 여름철에는 무더위로 인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따랐습니다.
또한, 계측 오류를 발견하더라도 생육단계가 지나면 사실상 재측정이 불가능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농업 통합 플랫폼 '제주DA' 내에 AI 기반 감귤 생산량 예측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김태우 / 제주도 농업기술원 농업디지털센터장 : 감귤 열매라고 하는 것이 계속 생육이 발달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 시기를 놓치면 다시 계측할 수가 없습니다. 3D 모델링화해서 이미지를 만들어놓으면 오차나 오류 부분이 있다고 하면 다시 계측해볼 수도 있고….]
해당 모델은 지난 10년간 축적된 감귤 관측조사 데이터와 기상청 정보, 위성 기반 식생지수를 결합한 기계학습 방식으로 구현됐습니다.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8종의 예측모델을 적용해 비교·검증했으며, 꽃과 잎의 비율, 열매 수, 크기 등 감귤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반영했습니다.
이로 인해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가능해졌습니다.
[김태우 / 제주도 농업기술원 농업디지털센터장 : (AI 생산량 예측이) 오차가 아예 없이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을 겁니다. 그래서 사람이 계측하는 부분과 모델링화해서 AI로 분석하는 부분을 당분간 병행해나갈 겁니다. 그래서 신뢰도 부분을 높여서….]
AI 도입으로 보다 정확한 감귤 생산량 예측이 가능해지면서 시장 안정과 정책 마련에도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KCTV 뉴스 김지우입니다.
YTN 김지우 kctv (kimmj02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