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사각지대 '비지정 해변'...무허가 샤워장까지

안전 사각지대 '비지정 해변'...무허가 샤워장까지

2025.08.01. 오전 05:1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정식 해수욕장이 아닌, 이른바 '비지정 해변'에도 피서객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지정 해변은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고, 불법 편의 시설까지 운영돼 사고 위험이 큽니다.

송세혁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원도 양양의 한 해변.

파라솔이 빼곡하게 펼쳐졌고, 바다는 피서객들로 북적입니다.

하지만 이곳은 정식 해수욕장이 아닌 비지정 해변입니다.

이렇게 출입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곳곳에 내걸려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피서객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바다에 들어가 물놀이를 즐기고 있습니다.

수심이 갑자기 깊어지는 동해안 특성상 사고 위험이 크지만, 이곳에는 수영 한계선도, 안전요원도 없습니다.

비지정 해변은 해수욕장법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지자체가 안전 관리 의무를 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구명조끼를 착용한 피서객은 거의 없습니다.

[피서객 : 꽤 얕더라고요. 바위 너머로는 깊은데….]

안전 대책은 없지만, 상업 행위는 해수욕장처럼 버젓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파라솔과 텐트는 돈을 받고 빌려주고, 어촌계 건물은 허가도 없이 샤워장으로 쓰입니다.

[마을 관계자 : 성인 4천 원, 소인 3천 원요. 원래 다른 시설인데, 저희가 이걸 그냥 쓰고 있어요.]

취재가 시작되자 양양군은 샤워장 운영 중단을 지시했지만, 파라솔 대여는 공유수면 사용 허가를 받았다는 이유로 제재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강원 양양군 관계자 : 물놀이 금지 구역이잖아요. 그런데 억지로 계속 들어가시거든요. (파라솔 대여는) 도덕적으로 잘못된 거죠. 법적으로 따져보자면 방법이 없어요.]

이런 비지정 해변은 전국적으로 80곳이 넘습니다.

관리 주체가 불분명해 사고가 나도 구조는 늦고 보상도 어렵습니다.

최근 3년간 6월부터 9월 사이 동해안 비지정 해변에서 숨진 사람만 39명. 올여름에도 벌써 4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된 비지정 해변.

일부 피서객들의 안전불감증과 허술한 관리 속에 인명 사고는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YTN 송세혁입니다.


영상기자 : 조은기



YTN 송세혁 (shs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