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기록적인 폭우에 침수 피해가 속출한 광주에서는 폭염 속 힘겨운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소나기까지 겹치면서 복구에 애를 먹고 있지만, 군 장병과 자원봉사들이 힘을 보태고 있는데요.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오선열 기자!
광주는 집중 호우에 피해 복구가 안 된 곳이 많은데, 농작물 피해도 극심하다고요?
[기자]
네, 제 뒤로 보이는 게 모두 복구 작업 과정에서 나온 수해 쓰레기입니다.
중장비가 동원돼 수거 작업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마을 한쪽에는 어른 키보다 높게 쌓인 쓰레기가 20m 넘게 모여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딸기 육묘장에서 나온 모종판도 산더미처럼 쌓여있습니다.
이곳 마을 곳곳에는 딸기 모종을 키우는 비닐하우스가 있는데요.
최근 폭우에 육묘장이 잠기면서 여름에 애써 키운 딸기 모종이 전량 폐기됐습니다.
육묘장 내부는 여전히 흙 범벅이고, 물이 고여있는 곳도 있습니다.
1m 높이의 육묘 시설이 뒤틀리거나 철제 지지대가 휘어진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물에 잠긴 모종은 사용할 수도 없어 겨울철 딸기 농사도 어려움이 예상되는데요.
광주는 지난 17일부터 내린 비가 500mm가 넘습니다.
사흘 동안 1년 강수량의 1/3 정도가 내린 건데요.
침수된 집부터 치우고, 들판에 나온 농민들은 한숨만 나오는 상황입니다.
양수기 등을 포함한 농기계들도 물에 잠기면서 고장 났는데요.
30년 넘게 농사를 지었다는 주민은 평생 처음 있는 일이라며 허탈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현재까지 광주와 전남에서만 논과 시설 원예 등 8천ha 정도가 침수되거나 매몰 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상당수 농경지와 비닐하우스가 원래 모습을 잃어버린 상태라 복구도 막막하기만 한데요.
폭우가 걷힌 뒤 폭염과 소나기가 닥치면서 복구 작업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군 부대원 170여 명도 이곳 일대에서 복구 작업을 돕고 있는데요.
도로가 유실되거나 침수 피해를 본 곳이 많아 완전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광주 북구 수해 마을에서 YTN 오선열입니다.
영상기자: 이강휘
YTN 오선열 (ohsy5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기록적인 폭우에 침수 피해가 속출한 광주에서는 폭염 속 힘겨운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소나기까지 겹치면서 복구에 애를 먹고 있지만, 군 장병과 자원봉사들이 힘을 보태고 있는데요.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오선열 기자!
광주는 집중 호우에 피해 복구가 안 된 곳이 많은데, 농작물 피해도 극심하다고요?
[기자]
네, 제 뒤로 보이는 게 모두 복구 작업 과정에서 나온 수해 쓰레기입니다.
중장비가 동원돼 수거 작업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마을 한쪽에는 어른 키보다 높게 쌓인 쓰레기가 20m 넘게 모여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딸기 육묘장에서 나온 모종판도 산더미처럼 쌓여있습니다.
이곳 마을 곳곳에는 딸기 모종을 키우는 비닐하우스가 있는데요.
최근 폭우에 육묘장이 잠기면서 여름에 애써 키운 딸기 모종이 전량 폐기됐습니다.
육묘장 내부는 여전히 흙 범벅이고, 물이 고여있는 곳도 있습니다.
1m 높이의 육묘 시설이 뒤틀리거나 철제 지지대가 휘어진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물에 잠긴 모종은 사용할 수도 없어 겨울철 딸기 농사도 어려움이 예상되는데요.
광주는 지난 17일부터 내린 비가 500mm가 넘습니다.
사흘 동안 1년 강수량의 1/3 정도가 내린 건데요.
침수된 집부터 치우고, 들판에 나온 농민들은 한숨만 나오는 상황입니다.
양수기 등을 포함한 농기계들도 물에 잠기면서 고장 났는데요.
30년 넘게 농사를 지었다는 주민은 평생 처음 있는 일이라며 허탈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현재까지 광주와 전남에서만 논과 시설 원예 등 8천ha 정도가 침수되거나 매몰 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상당수 농경지와 비닐하우스가 원래 모습을 잃어버린 상태라 복구도 막막하기만 한데요.
폭우가 걷힌 뒤 폭염과 소나기가 닥치면서 복구 작업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군 부대원 170여 명도 이곳 일대에서 복구 작업을 돕고 있는데요.
도로가 유실되거나 침수 피해를 본 곳이 많아 완전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광주 북구 수해 마을에서 YTN 오선열입니다.
영상기자: 이강휘
YTN 오선열 (ohsy5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