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충청권의 빗줄기가 굵어지면서 호우경보 지역이 확대됐습니다.
기상청은 이 지역에 밤사이 시간당 최대 8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질 것으로 예보했는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기수 기자!
[기자]
네, 충남 당진 당진천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비와 바람이 강하게 부는 모습인데요.
현장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제가 있는 곳엔 보시는 것처럼 굵은 빗줄기와 함께 나뭇가지가 흔들릴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지난해 장마 땐 제 뒤로 있는 하천의 수위가 급격히 올라가면서 인근 어시장이 침수 피해를 보기도 했는데요.
수위가 올라가자 이번에는 아예 하천 출입을 막는 통제선이 설치된 모습입니다.
충남 보령에 이어 서산과 태안 등 4개 시·군에 호우경보가 확대됐습니다.
그 밖의 충남 내륙과 세종, 대전에는 호우주의보가 발효 중입니다.
호우특보는 비구름이 이동하면서 점차 충청 내륙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충남 소방엔 나무 쓰러짐 등 5건의 피해 접수 외엔 추가로 신고된 것으로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인명피해도 현재까진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충남에는 내일까지 50∼150㎜, 많은 곳엔 200㎜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충북도 중부와 북부를 중심으로 최대 200㎜의 비가 예보됐는데요.
특히, 시간당 최대 80㎜기 넘는 이른바 극한 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까지 많은 비가 집중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집중호우 예보에 충북 괴산댐도 방류량을 초당 50톤으로 늘렸습니다.
충남도는 오후 2시부터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했습니다.
짧은 시간에 강한 비가 집중되면서 하천의 물이 갑자기 불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천 주변 접근을 피하고 침수 위험이 있는 지하차도와 하상도로, 저지대 출입도 자제해야 합니다.
비가 내리는 곳에는 천둥과 번개가 치고 돌풍이 부는 곳도 있겠습니다.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충남 당진에서 YTN 김기수입니다.
영상기자 : 권민호
YTN 김기수 (energywat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충청권의 빗줄기가 굵어지면서 호우경보 지역이 확대됐습니다.
기상청은 이 지역에 밤사이 시간당 최대 8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질 것으로 예보했는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기수 기자!
[기자]
네, 충남 당진 당진천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비와 바람이 강하게 부는 모습인데요.
현장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제가 있는 곳엔 보시는 것처럼 굵은 빗줄기와 함께 나뭇가지가 흔들릴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지난해 장마 땐 제 뒤로 있는 하천의 수위가 급격히 올라가면서 인근 어시장이 침수 피해를 보기도 했는데요.
수위가 올라가자 이번에는 아예 하천 출입을 막는 통제선이 설치된 모습입니다.
충남 보령에 이어 서산과 태안 등 4개 시·군에 호우경보가 확대됐습니다.
그 밖의 충남 내륙과 세종, 대전에는 호우주의보가 발효 중입니다.
호우특보는 비구름이 이동하면서 점차 충청 내륙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충남 소방엔 나무 쓰러짐 등 5건의 피해 접수 외엔 추가로 신고된 것으로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인명피해도 현재까진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충남에는 내일까지 50∼150㎜, 많은 곳엔 200㎜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충북도 중부와 북부를 중심으로 최대 200㎜의 비가 예보됐는데요.
특히, 시간당 최대 80㎜기 넘는 이른바 극한 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까지 많은 비가 집중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집중호우 예보에 충북 괴산댐도 방류량을 초당 50톤으로 늘렸습니다.
충남도는 오후 2시부터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했습니다.
짧은 시간에 강한 비가 집중되면서 하천의 물이 갑자기 불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천 주변 접근을 피하고 침수 위험이 있는 지하차도와 하상도로, 저지대 출입도 자제해야 합니다.
비가 내리는 곳에는 천둥과 번개가 치고 돌풍이 부는 곳도 있겠습니다.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충남 당진에서 YTN 김기수입니다.
영상기자 : 권민호
YTN 김기수 (energywat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