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통풍 발생 위험이 체질이나 유전적 요인뿐 아니라 생활습관과 대사 건강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로 밝혀졌습니다.
강원대학교병원 류머티즘내과 문기원, 도현수 교수 연구팀이 44,000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유전적으로 통풍에 취약한 사람이라도 올바른 생활습관을 지키면 통풍 발생 위험이 절반 가까이 낮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반면 흡연과 음주, 운동 부족 등 건강하지 못한 습관이 있으면 통풍 발생 위험이 커졌고, 특히 유전적 고위험군이면서 생활습관이 나쁜 사람의 통풍 발생 위험은 최대 3.6배, 비만이나 고혈압, 고지혈증 등 대사이상까지 동반되면 최대 7.8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연구팀은 운동과 금연, 절주 등 좋은 생활 습관을 실천하면 고위험군도 통풍 발생 위험을 45%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개인별 맞춤치료를 통해 만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통풍 발생 이후에는 생활 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강원대학교병원 류머티즘내과 문기원, 도현수 교수 연구팀이 44,000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유전적으로 통풍에 취약한 사람이라도 올바른 생활습관을 지키면 통풍 발생 위험이 절반 가까이 낮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반면 흡연과 음주, 운동 부족 등 건강하지 못한 습관이 있으면 통풍 발생 위험이 커졌고, 특히 유전적 고위험군이면서 생활습관이 나쁜 사람의 통풍 발생 위험은 최대 3.6배, 비만이나 고혈압, 고지혈증 등 대사이상까지 동반되면 최대 7.8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연구팀은 운동과 금연, 절주 등 좋은 생활 습관을 실천하면 고위험군도 통풍 발생 위험을 45%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개인별 맞춤치료를 통해 만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통풍 발생 이후에는 생활 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