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 부동산 거래와 관련해 편법 증여나 탈세 등 의심거래 70건이 적발됐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3월부터 마포구와 성동, 광진, 강동 등 서울 전역의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를 집중 점검한 결과 70건의 의심거래를 발견해 정밀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의심거래 유형으로는 차입금 과다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자녀가 부모 아파트를 시세보다 30% 싸게 매수하는 등의 편법 증여 의혹도 11건을 차지했습니다.
또, 무등록 중개인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미확인 시세 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시는 의심 거래 정밀 조사에서 불법행위가 확인되면 수사 의뢰하고 국세청에 통보하는 등 무관용 대응할 예정입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시는 지난 3월부터 마포구와 성동, 광진, 강동 등 서울 전역의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를 집중 점검한 결과 70건의 의심거래를 발견해 정밀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의심거래 유형으로는 차입금 과다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자녀가 부모 아파트를 시세보다 30% 싸게 매수하는 등의 편법 증여 의혹도 11건을 차지했습니다.
또, 무등록 중개인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미확인 시세 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시는 의심 거래 정밀 조사에서 불법행위가 확인되면 수사 의뢰하고 국세청에 통보하는 등 무관용 대응할 예정입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