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제주에 제2 공항이 건설됩니다.
포화상태에 이른 항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서인데요, 서귀포 신산리 일대에 지어지는 새 공항은 오는 2025년 이전에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종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제주공항 이용객은 2천3백만 명.
항공 수요는 계속 증가해 2018년에는 2천8백만 명, 2035년에는 4천5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주 공항의 수용 능력은 2018년에 포화 상태에 이르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항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제2 공항을 건설하기로 했습니다.
제2 공항은 서귀포시 신산리 일대에 건설됩니다.
[김병종, 한국항공대 교수]
"9가지 국제 기준에 입각한 평가 항목을 상대 비교했을 때 신산리 지역이 제2 공항으로 적합한 위치라고 연구 결론을 내렸습니다."
기존의 제주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활주로 1개를 건설하는 방안으로, 환경 훼손이 적고 상대적으로 공사비도 적게 들어가 최적 대안으로 결정됐습니다.
특히 제2 공항이 들어서는 지역은 기상 조건이 좋고 주변 소음 지역 거주민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평가되는 등 다른 후보지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손명수, 국토부 공항항행정책관]
"제주에 새로운 공항을 차질없이 빠른 시간 내에 좋은 공항을 만들어서 더 많은 사람이 편리하게 제주를 찾고…."
제2 공항 건설과 함께 논의됐던 기존 제주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은 대규모 바다 매립이 불가피해 해양 환경이 훼손되고 공사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것이 감점 요인이 됐습니다.
또 제주공항을 폐쇄하고 활주로 2개 있는 새 공항을 만드는 방안은 제주 도민들의 반대가 크다는 점 등이 고려됐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제주 제2 공항이 들어설 예정지입니다.
국토부는 앞으로 예비타당성 조사와 설계 등을 거쳐 오는 2025년 이전에 새로운 공항을 개항할 계획입니다.
YTN 유종민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제주에 제2 공항이 건설됩니다.
포화상태에 이른 항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서인데요, 서귀포 신산리 일대에 지어지는 새 공항은 오는 2025년 이전에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종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제주공항 이용객은 2천3백만 명.
항공 수요는 계속 증가해 2018년에는 2천8백만 명, 2035년에는 4천5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주 공항의 수용 능력은 2018년에 포화 상태에 이르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항공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제2 공항을 건설하기로 했습니다.
제2 공항은 서귀포시 신산리 일대에 건설됩니다.
[김병종, 한국항공대 교수]
"9가지 국제 기준에 입각한 평가 항목을 상대 비교했을 때 신산리 지역이 제2 공항으로 적합한 위치라고 연구 결론을 내렸습니다."
기존의 제주공항을 그대로 운영하면서 활주로 1개를 건설하는 방안으로, 환경 훼손이 적고 상대적으로 공사비도 적게 들어가 최적 대안으로 결정됐습니다.
특히 제2 공항이 들어서는 지역은 기상 조건이 좋고 주변 소음 지역 거주민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평가되는 등 다른 후보지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손명수, 국토부 공항항행정책관]
"제주에 새로운 공항을 차질없이 빠른 시간 내에 좋은 공항을 만들어서 더 많은 사람이 편리하게 제주를 찾고…."
제2 공항 건설과 함께 논의됐던 기존 제주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은 대규모 바다 매립이 불가피해 해양 환경이 훼손되고 공사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것이 감점 요인이 됐습니다.
또 제주공항을 폐쇄하고 활주로 2개 있는 새 공항을 만드는 방안은 제주 도민들의 반대가 크다는 점 등이 고려됐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제주 제2 공항이 들어설 예정지입니다.
국토부는 앞으로 예비타당성 조사와 설계 등을 거쳐 오는 2025년 이전에 새로운 공항을 개항할 계획입니다.
YTN 유종민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