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는 정부가 주도했던 지난 발사와 달리, 처음으로 민간 업체가 주도합니다.
기술 이전을 두고 난항을 겪기도 했는데요.
이번 발사로 민간 우주 산업 시대가 열릴지 시선이 쏠립니다.
김혜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민간으로의 기술 이전 절차는 순조롭지만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누리호 발사를 주도한 항공우주연구원과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와 이전 범위 등을 놓고 입장 차를 보여 난항을 겪기도 했습니다.
3년에 걸친 협상 끝에 올해 7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민간 발사 체계로의 전환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이후 30여 명으로 구성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연구팀은 발사체 점검과 이송, 안전관리 등의 발사 절차에 속도를 냈습니다.
하지만 단독 운용 경험이 없는 만큼 정부가 전 과정에 여전히 관여하고 있습니다.
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 제작과 조립을 감독하며 기술 이전 업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주항공청도 안전통제협의회를 통해 발사를 관리·감독하며 준비 상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정부 두 기관은 이번 4차 발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 5차와 6차 발사에서는 민간기업의 발사 운용 참여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박종찬 / 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단장 : 한국형 발사체에 대한 경쟁력 강화라는 목표가 있고요.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네 번의 반복 발사를 수행해서 발사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4차 발사가 성공한다면, 제작부터 발사까지 민간 주도 기술이 궤도에 오르며 민간 우주 산업 시대가 열릴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YTN 김혜은입니다.
YTN 김혜은 (soj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번 누리호 4차 발사는 정부가 주도했던 지난 발사와 달리, 처음으로 민간 업체가 주도합니다.
기술 이전을 두고 난항을 겪기도 했는데요.
이번 발사로 민간 우주 산업 시대가 열릴지 시선이 쏠립니다.
김혜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민간으로의 기술 이전 절차는 순조롭지만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누리호 발사를 주도한 항공우주연구원과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와 이전 범위 등을 놓고 입장 차를 보여 난항을 겪기도 했습니다.
3년에 걸친 협상 끝에 올해 7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민간 발사 체계로의 전환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이후 30여 명으로 구성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연구팀은 발사체 점검과 이송, 안전관리 등의 발사 절차에 속도를 냈습니다.
하지만 단독 운용 경험이 없는 만큼 정부가 전 과정에 여전히 관여하고 있습니다.
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 제작과 조립을 감독하며 기술 이전 업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주항공청도 안전통제협의회를 통해 발사를 관리·감독하며 준비 상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정부 두 기관은 이번 4차 발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 5차와 6차 발사에서는 민간기업의 발사 운용 참여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박종찬 / 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단장 : 한국형 발사체에 대한 경쟁력 강화라는 목표가 있고요.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네 번의 반복 발사를 수행해서 발사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4차 발사가 성공한다면, 제작부터 발사까지 민간 주도 기술이 궤도에 오르며 민간 우주 산업 시대가 열릴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YTN 김혜은입니다.
YTN 김혜은 (soj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