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서울, 118년 만의 폭염...땡볕 vs 그늘 온도 차 26℃

[날씨] 서울, 118년 만의 폭염...땡볕 vs 그늘 온도 차 26℃

2025.07.09. 오전 02: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어제 서울의 낮 기온이 38도에 육박했습니다.

7월 상순으로는 118년 만에 가장 심한 폭염으로 기록됐습니다.

서울 도심은 땡볕 아래 타는 듯 달아올랐는데, 그늘과 지면 온도가 무려 26도가량 차이가 났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한 햇빛에 달궈진 아스팔트가 흐릿하게 출렁이며 뜨거운 기운을 내뿜습니다.

숨이 막힐 듯한 더위.

가만히 있어도 땀방울이 맺히고, 시원한 물을 마셔도 좀처럼 가시질 않습니다.

[황사라 / 서울 도봉구 쌍문동 : 가만히 서 있어도 저는 땀이 날 정도로 굉장히 덥네요. 동남아에서 느꼈던 그런 더위로 우리나라가 바뀌어 가고 있는 것 같다 그런 느낌이 들었어요.]

YTN 취재진이 아스팔트 위에 올려놓은 프라이팬에선 햄이 두 시간여 만에 노릇노릇 익어버릴 정도였습니다.

서울 기온은 37.8도까지 오르며 118년 만에 7월 상순 최고기온을 기록했습니다.

광진구와 동작구는 39.6도, 구로와 용산, 동대문, 강남구도 39도를 넘겼고,

경기 광명 철산동과 파주 광탄면, 안성 양성면은 올해 처음 40도를 넘어섰습니다.

서쪽은 뜨거운 열기로 달아올라 대부분 지역에 폭염경보가 내려진 반면, 동해안은 하루 전까지 기승을 부리던 더위가 한풀 꺾이며 폭염특보가 해제됐습니다.

바람의 방향이 동풍으로 바뀌면서 서쪽 지역은 산맥을 넘어 뜨거워진 바람까지 더해져 열기가 한층 심해진 겁니다.

광화문광장의 표면 온도를 재보겠습니다.

오후 1시, 땡볕 아래에서는 50도에 육박했습니다.

하지만 바로 옆 그늘로만 이동해도 표면 온도는 33도 정도로 확연히 낮아졌습니다."

횡단보도 앞 아스팔트는 53.5도로 달아올랐지만, 시원한 물이 흐르는 청계천 그늘 지표 온도는 27.6도로 30도 가까운 온도 차이를 보였습니다.

[조일형 / 서울 구로구 개봉동 : 집에 있으니까 너무 더워서…. 여기 나와보니까 시원하고 다리 담그니까 시원하고 좋네요.]

문제는 이 같은 숨 막히는 폭염이 이번 주 후반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는 점입니다.

[김병권 / 기상청 예보분석관 : 9일 수요일 동해상의 고기압을 따라 동풍이 산맥을 넘으면서 더운 공기가 불어 드는 서쪽 지역은 35도 이상으로 덥겠고….]

한낮 땡볕에서는 10분만 서 있어도 탈진할 수 있는 만큼 물·그늘·휴식, 3가지 기본 수칙을 지켜 온열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이현오, 김세호
디자인;지경윤, 박유동, 김도윤




YTN 김민경 (kimmin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