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K팝이 지금 눈부신 데에는 그 뿌리가 분명 과거에 있었습니다. 지금은 레드카펫이 있지만, 과거는 가사 하나도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진흙탕이었어요. 김민기 형님이 그 진흙탕 위에 엎드렸고, 저희가 그 등을 밟고 오른 거예요. 이제는 우리가 형의 등에 묻은 흙을 털어줄 때라고 생각합니다." (가수 박학기 씨)
한국 공연문화의 발원지이지만 어쩔 수 없는 폐관을 앞둔 학전을 지켜달라는 마음으로 대한민국 음악인들과 연기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학전 어게인(AGAIN) 프로젝트' 기자회견이 오늘(5일) 서울 강서구 내발산동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사옥 내 KOMCA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는 가수 박학기 씨, 작곡가 김형석 씨, 작사가 김이나 씨, 그룹 유리상자 박승화 씨, 여행스케치 루카 씨, 크라잉넛 한경록 씨, 배우 설경구 씨, 배해선 씨, 장현성 씨, 배우 겸 감독 방은진 씨가 참석했다.
김민기 대표가 1991년 3월 대학로 소극장으로 개관한 학전은 '지하철 1호선' '모스키토' '의형제' '개똥이' 등 한국 뮤지컬 성장의 중심이자, 1990년대 라이브 콘서트의 발원지, 한국 공연문화의 뿌리로 평가돼왔다. 극단 학전에서 연기를 시작한 설경구 씨는 "청년문화의 상징적인 존재로,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장소"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학전은 창립 33주년을 끝으로 내년 봄 폐관을 앞두고 있다. 이에 학전을 거쳐간 수많은 연예인들이 모여 아쉬운 마음을 담아 학전과 김민기 대표를 기억하고자, 내년 2월 28일부터 월 14일까지 '학전 어게인' 공연을 연다.
가수와 배우들의 컬래버레이션 무대, 김민기 트리뷰트, 학전의 대표 콘텐츠 김광석 다시 부르기 등으로 구성된다. 방은진 씨는 "학전에 있던 과거 자료를 발굴하고, 굿즈를 제작하는 등의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학전인'이라고 스스로를 부르는 이들은 학전의 소중함, 학전을 만들고 지켜온 김민기 대표의 영향력에 대해 역설했다. 이 자리에 모이게 된 이유에 대해서도 박학기 씨는 "우리는 모두 김민기, 학전에게 마음의 빚을 지고 있다. 그 빚을 갚고 싶다는 마음에서 시작했다"고 밝혔다.
학전은 소극장의 인기 저하, 코로나19로 인해 심각한 재정 악화, 김민기 대표의 투병 등으로 인해 폐관에 맞닥뜨렸다. 김민기 대표가 '내가 해야 할 일'이라며 학전 운영을 지속해왔으나, 이제는 피할 수 없는 현실.
박승화 씨는 "우리의 시작이었던 학전 소극장이 문을 닫게 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정말 슬펐다. 섭섭한 마음"이라고 털어놨다. 그러면서도 "뮤지션, 배우들이 모두 우리의 고향이었던 학전을 위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걸 보면서 가슴이 뜨거워졌다"며 열정을 불태웠다.
이 공연 수익은 모두 학전의 새출발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꾸준히 김민기 대표와 소통하고 있는 박학기 씨는 "형님은 음악을 하고 싶은 새싹들이 학전에서 공연을 시작해 출발할 수 있기를 여전히 바라고 계시다"며 학전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무엇보다 참석자들 모두 "학전의 DNA가 지켜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방은진 씨는 "김민기 대표님은 학전블루 소극장에 있는 故김광석 보존비를 꼭 지키고 싶어 하신다"고 전하기도 했다. 더불어 일부 학전인들은 지자체 혹은 정부 부처에서 학전 보존에 관심을 가져주길 바라는 마음도 조심스럽게 내비쳤다.
[사진제공 = OSEN, 학전]
YTN 오지원 (bluejiw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 공연문화의 발원지이지만 어쩔 수 없는 폐관을 앞둔 학전을 지켜달라는 마음으로 대한민국 음악인들과 연기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학전 어게인(AGAIN) 프로젝트' 기자회견이 오늘(5일) 서울 강서구 내발산동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사옥 내 KOMCA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는 가수 박학기 씨, 작곡가 김형석 씨, 작사가 김이나 씨, 그룹 유리상자 박승화 씨, 여행스케치 루카 씨, 크라잉넛 한경록 씨, 배우 설경구 씨, 배해선 씨, 장현성 씨, 배우 겸 감독 방은진 씨가 참석했다.
김민기 대표가 1991년 3월 대학로 소극장으로 개관한 학전은 '지하철 1호선' '모스키토' '의형제' '개똥이' 등 한국 뮤지컬 성장의 중심이자, 1990년대 라이브 콘서트의 발원지, 한국 공연문화의 뿌리로 평가돼왔다. 극단 학전에서 연기를 시작한 설경구 씨는 "청년문화의 상징적인 존재로,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장소"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학전은 창립 33주년을 끝으로 내년 봄 폐관을 앞두고 있다. 이에 학전을 거쳐간 수많은 연예인들이 모여 아쉬운 마음을 담아 학전과 김민기 대표를 기억하고자, 내년 2월 28일부터 월 14일까지 '학전 어게인' 공연을 연다.
가수와 배우들의 컬래버레이션 무대, 김민기 트리뷰트, 학전의 대표 콘텐츠 김광석 다시 부르기 등으로 구성된다. 방은진 씨는 "학전에 있던 과거 자료를 발굴하고, 굿즈를 제작하는 등의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학전인'이라고 스스로를 부르는 이들은 학전의 소중함, 학전을 만들고 지켜온 김민기 대표의 영향력에 대해 역설했다. 이 자리에 모이게 된 이유에 대해서도 박학기 씨는 "우리는 모두 김민기, 학전에게 마음의 빚을 지고 있다. 그 빚을 갚고 싶다는 마음에서 시작했다"고 밝혔다.
학전은 소극장의 인기 저하, 코로나19로 인해 심각한 재정 악화, 김민기 대표의 투병 등으로 인해 폐관에 맞닥뜨렸다. 김민기 대표가 '내가 해야 할 일'이라며 학전 운영을 지속해왔으나, 이제는 피할 수 없는 현실.
박승화 씨는 "우리의 시작이었던 학전 소극장이 문을 닫게 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정말 슬펐다. 섭섭한 마음"이라고 털어놨다. 그러면서도 "뮤지션, 배우들이 모두 우리의 고향이었던 학전을 위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걸 보면서 가슴이 뜨거워졌다"며 열정을 불태웠다.
이 공연 수익은 모두 학전의 새출발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꾸준히 김민기 대표와 소통하고 있는 박학기 씨는 "형님은 음악을 하고 싶은 새싹들이 학전에서 공연을 시작해 출발할 수 있기를 여전히 바라고 계시다"며 학전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무엇보다 참석자들 모두 "학전의 DNA가 지켜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방은진 씨는 "김민기 대표님은 학전블루 소극장에 있는 故김광석 보존비를 꼭 지키고 싶어 하신다"고 전하기도 했다. 더불어 일부 학전인들은 지자체 혹은 정부 부처에서 학전 보존에 관심을 가져주길 바라는 마음도 조심스럽게 내비쳤다.
[사진제공 = OSEN, 학전]
YTN 오지원 (bluejiwo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