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최근 폭염과 폭우로 기후위기를 실감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 공연들이 대학로 일대에서 진행됩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서울 대학로 '아르코·대학로 예술극장'에서 '기후위기'를 주제로 한 관객참여형 공연을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가보지 못한 극장'이란 이름의 이번 프로젝트는 오는 11일∼13일과 18일∼20일에 걸쳐 열립니다.
예술위가 올해 새롭게 시작한 이번 기획은 극장 곳곳을 돌아다니며 공연을 관람하고 기후위기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형식의 행사입니다.
행사 기간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일대에서 모두 4편의 공연이 무대에 오릅니다.
균을 통해 재생과 회복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균발견-극장균'과 종말을 앞둔 인류의 마지막 노제를 우화적으로 풀어낸 '해피퓨네랄' 등이 관객을 만납니다.
이번 공연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하면 됩니다.
예술극장은 지난해부터 '지속가능성을 위한 생태 다양성의 중요함'에 대한 시민과의 공감을 위해, 비인간을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한국문화예술위원회
YTN 이광연 (ky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서울 대학로 '아르코·대학로 예술극장'에서 '기후위기'를 주제로 한 관객참여형 공연을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가보지 못한 극장'이란 이름의 이번 프로젝트는 오는 11일∼13일과 18일∼20일에 걸쳐 열립니다.
예술위가 올해 새롭게 시작한 이번 기획은 극장 곳곳을 돌아다니며 공연을 관람하고 기후위기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형식의 행사입니다.
행사 기간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일대에서 모두 4편의 공연이 무대에 오릅니다.
균을 통해 재생과 회복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균발견-극장균'과 종말을 앞둔 인류의 마지막 노제를 우화적으로 풀어낸 '해피퓨네랄' 등이 관객을 만납니다.
이번 공연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하면 됩니다.
예술극장은 지난해부터 '지속가능성을 위한 생태 다양성의 중요함'에 대한 시민과의 공감을 위해, 비인간을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한국문화예술위원회
YTN 이광연 (ky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