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백제 초기 왕성인 서울 풍납토성의 높이가 아파트 5층 높이의 거대 성벽이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동원된 연인원도 138만 명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황보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축구장 20개 크기의 타원형 풍납토성.
백제 초기 한강을 끼고 구축된 이 토성의 높이는 얼마였을까?
컴퓨터 '모델링 기법'으로 복원해봤더니 아파트 5층 높이의 거대 성벽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먼저 4세기 중반에 성벽이 신축됐고, 4세기 후반과 5세기 중반 두 차례 증축이 이뤄졌습니다.
처음 높이가 10.8m였는데 1차 증축 때 1m가, 2차 중축 때 추가로 1.5미터가 더해져 결국 13.3m까지 높아진 겁니다.
[인터뷰:이성준,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사]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그동안 추측만 해왔던 풍납토성의 규모를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는 데 있습니다."
이처럼 높고 큰 성벽을 축조하는 데는 연인원 138만 명 이상이 투입됐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풍납토성 성벽 체적 70만 4천2백 세제곱미터를 고대 인부 1인당 하루 작업량인 0.51세제곱미터로 나눈 결과입니다.
고고학뿐 아니라 영상공학, 핵물리학과 같은 첨단 학제간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백제 토성의 숨겨진 정체를 하나 더 밝혀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내년 초 보고서 발간을 통해 일반에 공개됩니다.
YTN 황보선 bosun@ytn.co.kr 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백제 초기 왕성인 서울 풍납토성의 높이가 아파트 5층 높이의 거대 성벽이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동원된 연인원도 138만 명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황보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축구장 20개 크기의 타원형 풍납토성.
백제 초기 한강을 끼고 구축된 이 토성의 높이는 얼마였을까?
컴퓨터 '모델링 기법'으로 복원해봤더니 아파트 5층 높이의 거대 성벽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먼저 4세기 중반에 성벽이 신축됐고, 4세기 후반과 5세기 중반 두 차례 증축이 이뤄졌습니다.
처음 높이가 10.8m였는데 1차 증축 때 1m가, 2차 중축 때 추가로 1.5미터가 더해져 결국 13.3m까지 높아진 겁니다.
[인터뷰:이성준,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사]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그동안 추측만 해왔던 풍납토성의 규모를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는 데 있습니다."
이처럼 높고 큰 성벽을 축조하는 데는 연인원 138만 명 이상이 투입됐을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풍납토성 성벽 체적 70만 4천2백 세제곱미터를 고대 인부 1인당 하루 작업량인 0.51세제곱미터로 나눈 결과입니다.
고고학뿐 아니라 영상공학, 핵물리학과 같은 첨단 학제간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백제 토성의 숨겨진 정체를 하나 더 밝혀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내년 초 보고서 발간을 통해 일반에 공개됩니다.
YTN 황보선 bosun@ytn.co.kr 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