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브리핑] AI 개발에 막대한 물·전기 소비..."사용량 공개해야"

[굿모닝브리핑] AI 개발에 막대한 물·전기 소비..."사용량 공개해야"

2023.12.01. 오전 07:2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출연 : 이현웅 아나운서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2월 1일 금요일입니다. 굿모닝 브리핑 시작합니다.

오늘 볼 첫 기사는 한국일보 1면에 실려 있습니다.
<전직 수사관 2천 명에 '학폭 조사' 맡긴다> 현재 교내에서 폭력이 발생하면 학폭 책임교사가 교감과 전문 상담교사, 보건교사 등과 전담기구를 구성해서 이 사안을 조사합니다. 하지만 업무에 대한 부담이 상당하고 교권 침해 우려도 있기 때문에 교사들 사이에선 '기피 1순위' 업무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교육부는 학교 폭력 사안 조사 업무를 전직 수사관에 맡기는 방안을 추진 중인데요. 한국일보가 취재한 내용에 따르면, 규모는 2천 명 수준이고 시도교육청 산하 학교폭력 제로센터에 배치한다고 합니다. 다만 제로센터가 조사를 맡을 학폭 사건의 범위까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학교 밖에서 발생했거나 피해가 중대한 사건들부터 우선 맡을 거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직 수사관을 특별사법경찰관으로 지정해서 조사권을 보장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한편, 일각에선 가해-피해 학생끼리의 화해나 가해학생에 대한 선도 같은 교육적 해결 방법과는 거리가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습니다.

다음은 조선일보 기사 보겠습니다.
<전국 곳곳이 식료품 사막>이다라는 제목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식료품 사막은, 마치 사막에서 물을 찾기 어렵듯 전국 곳곳에 식료품을 구하기 어려운 지역이 생겨나고 있다는 겁니다. 이런 현상은 대체로 도시 외곽 지역이나 노인 밀집 거주 마을 등에서 나타나고 있는데요. 지금 사진에 나온 지역은 경기 포천시 자작동 모습인데, 이곳 주민들이 신선식품을 사기 위해선 1km 이상 떨어져 있는 편의점에 왕복 30~40분을 들여 다녀와야 합니다. 장바구니 무게까지 생각한다면 사실상 고령층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게다가 온라인으로 주문해 아침에 문 앞으로 배송받는 것도 이런 지역에선 불가능합니다. 그러다 보니 2주에 한 번씩 마을을 찾는 트럭, '이동형 마트'를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한국보다 고령화 비율이 높은 일본과 미국, 영국 등에선 이러한 식료품 사막 현상이 이미 사회 문제화됐습니다. 주민들이 신선식품은 먹지 못하고 가공식품으로 끼니를 때우면서 비만 등 성인병이 나타나고 영양 불균형 문제까지 발생했다고 합니다. 한 전문가는 정부가 심각성을 인지하고 해외 사례를 참고해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참고로 해외에선 '식료품 사막' 지역에 마트를 여는 기업에 보조금을 주거나, 이동형 마트 창업을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다음은 경향신문 기사입니다.
최근 AI와 관련한 기사를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이 기사에선 AI산업에 대해 '기후 빌런'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막대한 양의 물과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인데 AI를 돌리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센터에서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물과 전기를 사용하는지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다만, 이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고 추정치가 알려져 있는데 챗GPT를 예를 들어 질문과 답변을 25개~50개 정도 주고받을 때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수 500ml가 소요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전기량에 대해선, 하나의 AI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1,000메가와트시 이상이 들어가는 걸로 보이는데,이는 미국 내 100가구가 1년 동안 쓰는 전기 양보다 더 많은 수준이었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현재 속도로 AI가 발전한다면 2027년에는 세계 AI 서버의 전력소비량이 하나의 국가 연간 전력 소비량과 비슷해질 거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모든 종류의 작업에 AI를 투입하는 건 쓸데없는 에너지 낭비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각국 정부도 AI 모델이 해당 전력과 탄소 배출을 감내할 만큼 가치가 있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마지막은 상봉터미널 운영 종료 소식을 전한 한국일보 기사입니다.
1985년 준공돼 주로 강원과 경기 북부 등을 오가던 상봉터미널. 한때는 하루 평균 이용객이 2만 명을 넘을 정도로 높은 수요를 자랑했습니다. 그런데 1990년 동서울터미널과 다른 중소형 터미널이 생기면서 급격히 쇠락의 길을 걷게 됐습니다. 결국 적자를 피하지 못하게 됐고, 어제 문을 닫게 됐습니다. 운영사 측은 '최근 하루 이용객이 20명 미만까지 감소해 더 이상의 운영은 불가능했다'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마지막 날 승객 7명을 태우고 원주로 출발한 한 버스 기사는 매일 오가던 터미널이 없어진다니 섭섭하다며 씁쓸한 반응을 전했습니다. 철거는 내년 초에 이뤄질 전망인데요. 이 부지에는 고층 주상복합이 세워질 예정입니다. 이곳을 이용하던 승객들 역시 아쉬운 마음을 내비치고 있는데, 당분간 원주를 오가는 버스는 터미널 앞에 간이 임시정류장을 마련해서 운행한다고 하니까 이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2월 1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굿모닝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이현웅] (leehw11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4 YTN 서울투어마라톤 (2024년 10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