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열발전소 관리 체계 바꿔야..."포항지진서 배우자"

지열발전소 관리 체계 바꿔야..."포항지진서 배우자"

2019.05.24. 오전 03:0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2017년 일어난 포항지진은 인근 지열발전소가 촉발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정부조사연구단은 이번 지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 세계 지열발전소의 위험 관리 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동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3월, 정부조사연구단은 2017년 11월 발생한 5.4 규모의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에 의한 '촉발 지진'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자연지진 직전 상태의 단층 사이로 지열발전소가 주입한 물이 흘러들면서 이른바 '방아쇠'를 당겼다는 겁니다.

연구단은 현재의 지열발전소 관리 체계로는 포항지진과 같은 위험에 대처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전 세계 지열발전소는 물을 주입하면서 지진 상황을 확인하는 '신호등 체계'로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시 포항은 2.0의 지진이 발생하면 압력을 낮추고 2.5 규모의 지진이 나면 물 주입을 멈추는 기준을 적용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실제 단층의 위험 변화를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이강근 /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 : 포항에서 주입량을 기준으로 할 때 아무리 크게 나도 3.7 이상은 날 수 없다, 그런데 실제로는 5가 훨씬 넘는 지진이 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그게 맞지 않다는 게 증명이 된 거죠.]

물 주입 후 두 달 뒤에 지진이 발생한 것도 땅속의 위험도가 끊임없이 변한 증거라고 연구단은 말했습니다.

[이강근 /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 : 오퍼레이터(조작자)의 입장에서 물을 넣고 줄이고 압력을 줄이고 이런 위험 관리 체계였다면 지금은 영향을 받는 (단층) 쪽의 입장에서 어떤 위험이 사전에 있었고 어떤 위험이 시간에 따라 바뀌고 있는지 이런 것들을 기반으로 해서 관리체계를 만들어야 된다.]

연구단은 발전소의 의사결정을 위해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객관적인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도 위험 관리 체계에 포함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포항지진에서 알게 된 내용을 바탕으로 해외 지열발전소에 대한 관리 체계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사이언스 이동은[dele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