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주 방위군 총격 사건의 책임을 물으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자동 서명한 모든 행정명령을 취소한다고 밝혔습니다.
반이민 정책과 함께 바이든 때리기로 지지층 결집에 나선 모습입니다.
워싱턴 홍상희 특파원입니다.
[기자]
주방위군 총격 사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반이민 정책과 함께 바이든 전 대통령 때리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제3세계로부터의 이민을 영구 중단하고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자동 서명 장치로 승인한 이민자를 추방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이번에는 오토펜으로 서명한 모든 행정명령을 취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을 둘러싼 급진 좌파 광신도들이 대통령직을 빼앗았다"며 자동 서명이 "오토펜을 조작한 자들의 불법 행위"였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자(지난 27일) : 미국으로 데려온 아프간인들에 대해 국토안보부와 FBI가 사전에 신원 조사를 실시했죠. 그런데 왜 바이든 행정부를 비난하는 건가요.]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 27일) : 바이든 행정부가 총격범을 들여보냈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멍청한 사람인가요? 그들은 여기에 있어서는 안 될 수천 명의 다른 사람들과 함께 비행기를 타고 들어왔기 때문이에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총격범의 모국인 아프가니스탄 이민 신청자에 대한 심사를 중단했고, 제3세계 국가로부터의 이민도 영구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6월 미국 입국 금지 대상국으로 지정한 아프가니스탄과 이란, 예멘, 미얀마 등 12개 국가와 쿠바와 라오스, 베네수엘라 등 부분 제한국 7개 국가가 그 대상입니다.
미 국토안보부는 또 이들 19개국 출신 외국인의 영주권과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승인한 망명 신청에 대해 전면 재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엔은 즉각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모든 국가는 인권을 보호할 의무가 있고, 특히 망명 신청자들은 국제법상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변유진 / 유엔난민기구(UNHCR) 대변인 :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 그들의 영토에 도착하면, 적법한 절차에 따른 망명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영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방 선거 패배와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불안, 성범죄자 엡스타인 파일 연루 의혹으로 고전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주방위군 총격 사건을 계기로 반이민 정책의 강도를 높이면서 지지층 결집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 이번 총격 사건의 책임을 전임 바이든 행정부와 민주당으로 돌리면서 미국 내 분열과 갈등이 더 심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영상편집 : 전자인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이 주 방위군 총격 사건의 책임을 물으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자동 서명한 모든 행정명령을 취소한다고 밝혔습니다.
반이민 정책과 함께 바이든 때리기로 지지층 결집에 나선 모습입니다.
워싱턴 홍상희 특파원입니다.
[기자]
주방위군 총격 사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반이민 정책과 함께 바이든 전 대통령 때리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제3세계로부터의 이민을 영구 중단하고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자동 서명 장치로 승인한 이민자를 추방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이번에는 오토펜으로 서명한 모든 행정명령을 취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을 둘러싼 급진 좌파 광신도들이 대통령직을 빼앗았다"며 자동 서명이 "오토펜을 조작한 자들의 불법 행위"였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자(지난 27일) : 미국으로 데려온 아프간인들에 대해 국토안보부와 FBI가 사전에 신원 조사를 실시했죠. 그런데 왜 바이든 행정부를 비난하는 건가요.]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 27일) : 바이든 행정부가 총격범을 들여보냈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멍청한 사람인가요? 그들은 여기에 있어서는 안 될 수천 명의 다른 사람들과 함께 비행기를 타고 들어왔기 때문이에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총격범의 모국인 아프가니스탄 이민 신청자에 대한 심사를 중단했고, 제3세계 국가로부터의 이민도 영구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6월 미국 입국 금지 대상국으로 지정한 아프가니스탄과 이란, 예멘, 미얀마 등 12개 국가와 쿠바와 라오스, 베네수엘라 등 부분 제한국 7개 국가가 그 대상입니다.
미 국토안보부는 또 이들 19개국 출신 외국인의 영주권과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승인한 망명 신청에 대해 전면 재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유엔은 즉각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모든 국가는 인권을 보호할 의무가 있고, 특히 망명 신청자들은 국제법상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변유진 / 유엔난민기구(UNHCR) 대변인 :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 그들의 영토에 도착하면, 적법한 절차에 따른 망명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영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방 선거 패배와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불안, 성범죄자 엡스타인 파일 연루 의혹으로 고전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주방위군 총격 사건을 계기로 반이민 정책의 강도를 높이면서 지지층 결집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 이번 총격 사건의 책임을 전임 바이든 행정부와 민주당으로 돌리면서 미국 내 분열과 갈등이 더 심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에서 YTN 홍상희입니다.
영상편집 : 전자인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