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인공지능, AI 기술 기업들이 인프라 확충을 위해 발행한 채권 홍수에 월가가 적응하느라 긴장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간 23일 보도했습니다.
9월 이후 아마존, 구글 모기업 알파벳,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오라클 등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 4개사가 모두 900억 달러(약 133조 원)에 가까운 투자등급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이 4개사가 이전 40개월 동안 발행한 전체 물량을 넘는 규모입니다.
AI 데이터센터 개발업체인 테라울트와 사이퍼 마이닝은 70억 달러 넘는 투기등급 채권을 판매했습니다.
기업들이 계획했던 물량을 모두 판매할 수 있었지만, 일부는 예상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해야 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발행 이후 이 채권들의 금리가 상승했는데 이는 악화하는 신용 여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AI 기술기업 채권에 가해진 압력이 업종 전반에 걸쳐 똑같지는 않았습니다.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매 분기 벌어들인 막대한 이익으로 AI 투자 재원 대부분을 자체 조달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큰 충격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보유 현금이 상대적으로 적고,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의 거대한 야심에 비춰보면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해 보이는 메타는 10월 말 30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할 때 이미 거래되는 기존 자사 채권보다 현저히 높은 금리를 제시해야 했습니다.
메타가 이때 발행한 여러 만기의 채권 중 일부는 유통 시장에서 금리가 더 올라갔습니다.
AA 등급인 이 채권들의 금리는 신용등급이 한 단계 낮은 IBM의 A 등급 채권 금리와 거의 비슷합니다.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오라클의 상황은 더 어렵습니다.
투기등급 바로 위 두 단계의 신용등급에 해당하는 오라클의 채권은 이제 투자등급 기술 기업들 채권 가운데 금리가 가장 높습니다.
주요 AI 클라우드 제공업체 중 유일하게 투기등급인 코어위브가 7월 발행한 2031년 만기 채권은 최근 달러당 92센트 수준에서 거래됐습니다.
이는 약 11%의 금리에 해당하며 신용등급 맨 아래 등급인 CCC 등급 채권 평균 금리와 같은 수준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또한 AI 기술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에 불안감을 느끼던 주식 투자자들 역시 이 기술 기업들 채권의 약세를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최근 몇 주간 오라클 신용부도스와프(CDS)는 거래 증가 속에서 가격이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신용부도스와프 가격은 부도 위험이 커질수록 오릅니다.
오라클 신용부도스와프에 대한 관심이 오라클 주가가 이달 24% 하락한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습니다.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의 글로벌 신용 책임자 존 로이드는 "지금은 시장들이 서로 연결돼 있어 만일 AI 주가가 하락하면 채권 시장도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렵고 그 반대로 마찬가지"라고 말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9월 이후 아마존, 구글 모기업 알파벳,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오라클 등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 4개사가 모두 900억 달러(약 133조 원)에 가까운 투자등급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이 4개사가 이전 40개월 동안 발행한 전체 물량을 넘는 규모입니다.
AI 데이터센터 개발업체인 테라울트와 사이퍼 마이닝은 70억 달러 넘는 투기등급 채권을 판매했습니다.
기업들이 계획했던 물량을 모두 판매할 수 있었지만, 일부는 예상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해야 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발행 이후 이 채권들의 금리가 상승했는데 이는 악화하는 신용 여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AI 기술기업 채권에 가해진 압력이 업종 전반에 걸쳐 똑같지는 않았습니다.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매 분기 벌어들인 막대한 이익으로 AI 투자 재원 대부분을 자체 조달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큰 충격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보유 현금이 상대적으로 적고,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의 거대한 야심에 비춰보면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해 보이는 메타는 10월 말 30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할 때 이미 거래되는 기존 자사 채권보다 현저히 높은 금리를 제시해야 했습니다.
메타가 이때 발행한 여러 만기의 채권 중 일부는 유통 시장에서 금리가 더 올라갔습니다.
AA 등급인 이 채권들의 금리는 신용등급이 한 단계 낮은 IBM의 A 등급 채권 금리와 거의 비슷합니다.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오라클의 상황은 더 어렵습니다.
투기등급 바로 위 두 단계의 신용등급에 해당하는 오라클의 채권은 이제 투자등급 기술 기업들 채권 가운데 금리가 가장 높습니다.
주요 AI 클라우드 제공업체 중 유일하게 투기등급인 코어위브가 7월 발행한 2031년 만기 채권은 최근 달러당 92센트 수준에서 거래됐습니다.
이는 약 11%의 금리에 해당하며 신용등급 맨 아래 등급인 CCC 등급 채권 평균 금리와 같은 수준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또한 AI 기술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에 불안감을 느끼던 주식 투자자들 역시 이 기술 기업들 채권의 약세를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최근 몇 주간 오라클 신용부도스와프(CDS)는 거래 증가 속에서 가격이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신용부도스와프 가격은 부도 위험이 커질수록 오릅니다.
오라클 신용부도스와프에 대한 관심이 오라클 주가가 이달 24% 하락한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습니다.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의 글로벌 신용 책임자 존 로이드는 "지금은 시장들이 서로 연결돼 있어 만일 AI 주가가 하락하면 채권 시장도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렵고 그 반대로 마찬가지"라고 말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