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연방준비제도 인사들이 잇따라 기준 금리와 관련한 입장을 표명한 가운데 12월 금리 결정에서 투표권을 지닌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습니다.
콜린스 총재는 보스턴 지역 은행 행사에서 "매우 불확실한 환경에서 물가와 고용 간 위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당분간 기준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게 적절할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또 "현재 통화 정책 수준이 여전히 다소 긴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광범위한 금융 여건이 경제 성장에 역풍이 아닌 순풍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경우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는 게 늦어지거나 아예 멈출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콜린스 총재는 지난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의 금리 결정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는 데 찬성했는데, 12월 회의 추가 인하엔 반대 입장을 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지난달 29일 FOMC 회의에서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가 금리 인하 결정에 반대하며 동결 입장을 냈습니다.
올해는 투표권이 없지만, 내년 투표권을 보유하는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현 통화 정책 기조가 약간 긴축적인 수준일 뿐이라며 추가 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시각을 표했습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지난 10월 FOMC 회의에서 0.5%포인트 금리 인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10월 말 FOMC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12월 추가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라고 거듭 강조하며 FOMC 구성원 간 강한 견해 차이가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연준 위원 간 시각차가 파월 의장 재임 기간 전례 없이 커진 가운데 12월 FOMC를 앞두고 통화정책 경로가 불투명해졌다고 진단했습니다.
금융 시장도 연준이 12월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뚜렷한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의 페드 워치에서 금리 선물 시장은 12일 기준 연준이 12월 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60%, 동결할 확률을 40%로 각각 반영했습니다.
월가 일각에선 연준이 12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더라도 향후 추가 인하 행보에 신중한 입장을 표명하는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인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취해온 매파 성향의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가 내년 2월 임기 종료를 기해 퇴임해 연준 내부의 통화 정책 방향에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입니다.
보스틱 총재는 통화 정책에서는 대체로 중도 성향을 취해왔지만, 올해 연준의 기준 금리 인하 재개를 앞두고서는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매파적 입장을 취해왔습니다.
지역 연은 총재는 미국의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FOMC에서 돌아가며 투표권을 행사하며,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오는 2027년 투표권을 가집니다.
올해 투표권은 없었지만, 금리 인하와 관련해 신중파에 힘을 실어줬던 보스틱 총재의 퇴임으로 내년 2월부터 연준 내 '친 트럼프' 인사들의 금리 인하 주장이 좀 더 힘을 얻게 될지 주목됩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콜린스 총재는 보스턴 지역 은행 행사에서 "매우 불확실한 환경에서 물가와 고용 간 위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당분간 기준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게 적절할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또 "현재 통화 정책 수준이 여전히 다소 긴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광범위한 금융 여건이 경제 성장에 역풍이 아닌 순풍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경우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되돌리는 게 늦어지거나 아예 멈출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콜린스 총재는 지난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의 금리 결정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는 데 찬성했는데, 12월 회의 추가 인하엔 반대 입장을 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지난달 29일 FOMC 회의에서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가 금리 인하 결정에 반대하며 동결 입장을 냈습니다.
올해는 투표권이 없지만, 내년 투표권을 보유하는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현 통화 정책 기조가 약간 긴축적인 수준일 뿐이라며 추가 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시각을 표했습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지난 10월 FOMC 회의에서 0.5%포인트 금리 인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10월 말 FOMC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12월 추가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라고 거듭 강조하며 FOMC 구성원 간 강한 견해 차이가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연준 위원 간 시각차가 파월 의장 재임 기간 전례 없이 커진 가운데 12월 FOMC를 앞두고 통화정책 경로가 불투명해졌다고 진단했습니다.
금융 시장도 연준이 12월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뚜렷한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의 페드 워치에서 금리 선물 시장은 12일 기준 연준이 12월 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60%, 동결할 확률을 40%로 각각 반영했습니다.
월가 일각에선 연준이 12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더라도 향후 추가 인하 행보에 신중한 입장을 표명하는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인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취해온 매파 성향의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가 내년 2월 임기 종료를 기해 퇴임해 연준 내부의 통화 정책 방향에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입니다.
보스틱 총재는 통화 정책에서는 대체로 중도 성향을 취해왔지만, 올해 연준의 기준 금리 인하 재개를 앞두고서는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매파적 입장을 취해왔습니다.
지역 연은 총재는 미국의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FOMC에서 돌아가며 투표권을 행사하며,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오는 2027년 투표권을 가집니다.
올해 투표권은 없었지만, 금리 인하와 관련해 신중파에 힘을 실어줬던 보스틱 총재의 퇴임으로 내년 2월부터 연준 내 '친 트럼프' 인사들의 금리 인하 주장이 좀 더 힘을 얻게 될지 주목됩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