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비공개 회담에서 뼈 있는 발언 쏟아내
전임 정권 미·일 쏠림…과거 사드 사태 염두
방한 걸림돌로 꼽힌 혐중 시위 의식한 발언도 나와
내년 11월 중국 선전에서 APEC 정상회의 개최 예정
전임 정권 미·일 쏠림…과거 사드 사태 염두
방한 걸림돌로 꼽힌 혐중 시위 의식한 발언도 나와
내년 11월 중국 선전에서 APEC 정상회의 개최 예정
AD
[앵커]
시진핑 중국 주석은 이재명 대통령과 비공개 회담에서 한국에 바라는 속내를 피력했습니다.
APEC 의장국 바통을 넘겨받으면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빠진 국제무대에서 존재감도 키웠습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한중정상회담, 공개 발언에선 상견례 성격의 덕담이 오갔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 2014년 7월에 방한해주셨고 그 후 11년 만에 국빈 방문해 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 한국 측의 성공적인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축하합니다.]
그러나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전한 시진핑 주석의 비공개 회담 발언엔 뼈가 있었습니다.
먼저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배려하고, 협상을 통해 갈등과 차이를 처리하자"고 말했습니다.
전임 정권의 미·일 쏠림 외교나 과거 사드 사태로 인한 관계 경색을 되풀이하지 말자는 겁니다.
이번 방한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로 꼽혔던 혐중 시위 등을 의식한 발언도 있었습니다.
여론과 민의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고, 부정적인 동향을 억제하자는 대목입니다.
APEC 주최를 계기로 아태 자유무역지대와 공동체 건설에 함께 나서자며 미국을 견제하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열린 폐막식에서 APEC 정상회의 의장국 지위를 중국에 넘겼습니다.
시 주석은 내년 11월 중국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광둥성 선전에서 재회를 기약했습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 중국은 내년 APEC 개최를 계기로 각국과 손잡고 아시아·태평양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빠진 APEC에서 존재감을 키운 시진핑 주석, 중국이 의장국을 맡는 내년 회의 땐 반미 색채가 짙어질 거로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시진핑 중국 주석은 이재명 대통령과 비공개 회담에서 한국에 바라는 속내를 피력했습니다.
APEC 의장국 바통을 넘겨받으면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빠진 국제무대에서 존재감도 키웠습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한중정상회담, 공개 발언에선 상견례 성격의 덕담이 오갔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 2014년 7월에 방한해주셨고 그 후 11년 만에 국빈 방문해 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 한국 측의 성공적인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축하합니다.]
그러나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전한 시진핑 주석의 비공개 회담 발언엔 뼈가 있었습니다.
먼저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배려하고, 협상을 통해 갈등과 차이를 처리하자"고 말했습니다.
전임 정권의 미·일 쏠림 외교나 과거 사드 사태로 인한 관계 경색을 되풀이하지 말자는 겁니다.
이번 방한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로 꼽혔던 혐중 시위 등을 의식한 발언도 있었습니다.
여론과 민의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고, 부정적인 동향을 억제하자는 대목입니다.
APEC 주최를 계기로 아태 자유무역지대와 공동체 건설에 함께 나서자며 미국을 견제하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열린 폐막식에서 APEC 정상회의 의장국 지위를 중국에 넘겼습니다.
시 주석은 내년 11월 중국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광둥성 선전에서 재회를 기약했습니다.
[시진핑 / 중국 국가주석 : 중국은 내년 APEC 개최를 계기로 각국과 손잡고 아시아·태평양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빠진 APEC에서 존재감을 키운 시진핑 주석, 중국이 의장국을 맡는 내년 회의 땐 반미 색채가 짙어질 거로 보입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